지난 3월 24일 부산YMCA에서 팔레스타인 탈핵운동가가 원전 건설 및 핵무기 제조 기업 불매투자회수제재(BDS) 운동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탈핵 1만인 선언 추진위’는 오는 4월 16일 세월호 3주년에 맞춰 ‘탈핵 에너지 전환과 4대강 복원’ 대선공약 채택을 촉구하는 각계 1만인 서명운동 2차 선언을 실시한다. 2차 선언은 핵발전소가 입지한 부산 고리, 울산 신고리 지역, 경북 경주 월성, 울진 지역, 전남 영광 지역을 중심으로 추진한다. 지금 바로 ‘네이버 오피스’를 클릭해 서명에 동참하시기를 당부드린다.
지난 3월 11일 일본 후쿠시마핵발전소 사고 6주년을 맞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탈핵 에너지 교수모임을 비롯한 탈핵단체가 실시한 1차 선언에는 전국에서 1524명이 참가했다.
이 운동은 연대를 중시한다. ‘탈핵 1만인 선언 추진위’는 ‘핵 없는 사회를 위한 공동행동’이 추진하고 있는 ‘잘 가라 핵발전소 100만 서명운동’도 함께 서명툴에 넣어 추진하고 있다. 탈핵 1만인 선언은 19대 대선주자들에게 구체적인 대선공약 채택을 위한 토론회 또는 협약 체결을 요구하고, ‘탈핵 한국’을 위한 근본적인 국가정책의 변화를 촉구하고자 하는 것이다. 주권자의 힘을 보여주고자 하는 범시민적 주권 운동이다.
따라서 1만인 각계 선언을 통해 대선주자에게 탈핵과 4대강 복원 등으로 대표되는 ‘생명존중과 안전한 나라 만들기’에 국민의 뜻을 모아 ‘주권자의 심판’을 통해 정권교체를 이룩하고, 이와 동시에 이 같은 공약을 지키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동시에 새로운 대한민국에서 이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차원에서 ‘행동하는 녹색소비자’로서 핵 마피아와 관련된 기업이나 행정, 학계, 언론에 대해서도 ’소비자 주권‘을 보일 수 있는 범국민·전지구적 ‘생명평화 네트워크’를 만들어내는 것이 필요하다.
원전·핵무기 제조 기업에 대한 불매·투자철회·제재(BDS) 운동 점화
때마침 국제 시민·소비자의 힘을 모아 원전 건설과 핵무기 제조 관련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요구하는 국제 네트워크 운동이 벌어지고 있다.
지난 3월 23일 서울 인사동 관훈클럽 신영기금회관과 다음날 부산YMCA에서 열린 ‘2017년 반핵평화 BDS 국제워크숍’에서 팔레스타인, 남아공 출신 탈핵운동가들이 국제적인 ‘BDS 운동’을 소개했다. BDS란 Boycott(불매) Divestment(투자 중단) Sanction(제재)의 약자다. ‘BDS 운동’을 번역하자면 ‘불매 투자회수 제재’ 운동이라 할 수 있다.
아랍연맹을 중심으로 한 BDS 운동은 과거 남아공의 극단적인 인종차별정책에 반대해 벌어졌던 반아파르트헤이트 운동에서 비롯돼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에 대한 군사점령 및 인종차별 등 탄압을 방조하는 친이스라엘 기업들에 대한 국제적 저항운동이다. 친이스라엘기업 목록에는 코카콜라, 맥도널드, 스타벅스, 네슬레, IBM 등 글로벌기업이 포함돼 있는데 이들 기업에 대해서 벨기에, 노르웨이 등에선 일부 공공기관이 투자를 철회했고, 빌앤멜린다게이츠재단 역시 팔레스타인 수감자 수용 시설을 경비하는 영국계 보안업체 ‘G4S’에 대해 투자를 철회했다.
이 운동은 나아가 일본 히로시마 나가사키 원폭 투하와 관련된 핵무기 제조 기업인 듀퐁, 보잉, 록히드마틴이나 원전 건설사인 G.E.와 웨스팅하우스사에 대한 국제소송 추진도 검토하고 있다. 즉 탈핵 운동 가운데 경제적 압력으로 소비자불매, 투자 철회, 민사법적 제재를 적극 추진하는 운동이 BDS 운동인 것이다.
소비자불매 운동으로는 EU의 경우 핵발전 전기불매 운동이 있고, 비핵 전력회사를 시민들이 직접 설립하기도 한다. 그리고 전 세계적으로 핵발전소 건설에 참여업체에 대한 불매 운동으로 이어지고 있다. 아랍에미레이트 바라카원전 건설사업의 경우 현대건설과 삼성물산이, 신고리 5,6호기의 경우 삼성물산, 한화건설, 두산중공업이 참여하고 있고, 울진 신한울의 경우 현대건설, GS건설, SK건설이 참여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리고 있다.
이에 BDS 활동가들은 이들 참여 건설업체가 짓고 있는 아파트를 불매하고, 자치단체의 공공시설 입찰 참가자격을 제한토록 압력을 가하는 것이다. 지난 1995년에는 환경운동연합을 비롯한 12개 환경시민단체가 중심이 돼 프랑스 핵실험과 관련해 프랑스 생수와 와인 안 마시기, 프랑스영화 안보기 등의 대대적인 불매캠페인을 벌인 적도 있다.
<yb528@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