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스로 광합성하는 인공세포 개발
스스로 광합성하는 인공세포 개발
  • 조송현 조송현
  • 승인 2018.05.29 17:11
  • 업데이트 2018.05.29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스스로 광합성하는 인공세포 개발
생물의 단백질을 재조립하여 스스로 대사활동하는 세포를 만들다 한미공동연구팀이 빛을 사용하여 스스로 에너지를 생산하는 인공세포를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고 29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밝혔다. 신관우(서강대학교) 교수와 케빈 파커(하버드대학교), 안태규(성균관대학교), 정광환(서강대학교) 교수는 살아있는 세포와 동일한 형태와 기능을 가지며, 빛을 사용하여 스스로 에너지를 생산하는 인공세포를 제작했다. 이 연구 성과는 국제적인 학술지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Nature Biotechnology) 5월 28일 자에 게재되었으며, 네이처(Nature)의 하이라이트(highlight)로 소개되었다. 논문명은 Photosynthetic artificial organelles sustain and control ATP-dependent reactions in a protocellular system. 인공세포(Artificial Cell)는 광합성을 통한 에너지 전환, 미토콘드리아를 이용한 생체 에너지(ATP) 생산 그리고 이를 이용한 세포 내 물질 합성 등이 가능한 인공구조체를 말한다.

연구팀이 성장시킨 인공세포. 세포 내 골격단백질이 성장한것이다. 출처 : 서강대 화학과 신관우 교수

연구팀은 식물에서 광합성 단백질과 박테리아에서 광전환 단백질을 추출한 후세포와 유사한 형태로 재조합하여 인공세포를 제작 하였다. 개발된 세포는 빛을 사용하여 스스로 생체에너지(ATP)를 생산하며, 세포의 움직임과 형태를 구성하는 세포골격을 합성하고, 또한 빛에 반응하여 스스로 움직임을 보였다. 이는 마치 원시적 형태의 살아있는 세포와 유사하다. 신관우 교수는 “이 연구성과는 살아있는 생명체에 가장 근접한 혁신적인 연구성과이며, 스스로 외부 환경에 적응하고 성장하는 생명체를 인간이 만들어낼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라고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 # 기사 출처 : Nature Biotechnology, Photosynthetic artificial organelles sustain and control ATP-dependent reactions in a protocellular system

<pinegoo3141@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