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기업 주도 부산형 에너지공공개발 출범 “가시화”

부산 관∙민∙산도 함께 참여하는 제4섹터 방식…“新시민경제 활성화 모델”
부산시의회 기획재경위, 부산시 담당기관과 부산연구원 등 전문가 원탁회의

조송현 승인 2024.10.24 14:22 의견 0
23일 오후 부산시의회 회의실에서 열린 제4섹터 방식 부산형 에너지공공개발 전략원탁회의 참가자들이 미래형 부산경제성장모델의 실현을 위해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한국에너지전환사업단 제공]

부산시의회 기획재경위원회(위원장 성창용)는 23일 부산시의회 지하1층 회의실에서 「부산 분산형 자급자족 에너지인프라 개발 및 확충 등을 위한 전략 원탁회의」를 갖고 「사회적기업(제4섹터)이 주도하는 지역에너지회사에 의한 공공개발 방식」을 부산의 미래형 신(新)경제 활성화 최적 모델로 재설정하고 이의 조속한 시행을 위한 지원방안 마련에 나섰다.

부산연구원(원장 신현석)이 공동 주최하고 한국에너지전환사업단과 부산경제사회적협동조합연합회 및 부산에너지시민위원회 등 3개 기관이 공동 주관한 이날 전략 회의는 성창용 위원장이 직접 좌장을 맡고 ▲기조발제 (김대오 한국에너지전환사업단 대표, 주제 : 「제4섹터 방식 에너지 공공개발을 통한 부산의 미래비전 찾기」) ▲종합토론 (부산시 및 산하 공단과 공사 담당자, 그리고 부산지역 경제계 및 시민사회분야 각계 전문가 등 10여명 참여) ▲부산시의회 소속 상임위 의원 및 참관 시민들이 참여하는 자유토론 등 순으로 진행됐다.

23일 오후 부산시의회 회의실에서 열린 제4섹터 방식 부산형 에너지공공개발 전략원탁회의 중 김대오 한국에너지전환사업단 대표가 기조발제를 하고 있다. [한국에너지전환사업단 제공]

이날 기조발표를 통해 김 대표는 “부산의 공공적 에너지개발방식으로 사회적기업이 주도하고 민·관·산이 함께 참여하는 이른바 제4섹터 방식의 지역에너지회사를 만들고 향후 10년내 공급 목표인 1GW 규모 재생에너지(태양광 500MW와 풍력 500MW 기준) 공급자로 자리를 굳히면 사업 개시 후 20년간 생산유발 5.2조 원, 고용유발 2만750명 창출 효과와 함께 시민들에겐 투자수익 및 공익사업형태로 무려 3.38조 원 규모의 햇빛수익을 줄 수 있다”고 밝히고 “부산은 제6차 부산지역에너지기본계획에서 공공시설 및 부지 51곳만 활용해도 13만여 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전력생산이 가능한 293MW 이상의 태양광발전소 구축이 가능하다고 하고 있는 만큼 이건 사업부터 당장 시작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날 종합토론에서 부산연구원 최윤찬 박사는 “제4섹터 방식 사업추진은 부산에서 에너지공사 추진 무산 후 시행할 만한 아주 의미있는 정책의제”라고 호응했고 성수용 부산경제사회적협동조합연합회 성수용 초대회장은 “그간 막막하기만하던 부산에서 오히려 일자리를 늘리고 시민 수익도 늘리는 경제모델로서 부산시의 적극적인 협력과 관련 정책 시행을 촉구하기도 했다. 또 구자상 부산에너지시민위원회 공동대표와 황상규 ESG평가연구소장 등도 ”부산의 탄소중립과 분산형에너지 활성화 촉진 방안으로는 전국적으로도 가장 의미있는 미래형 지역경제모델“로 입을 모았다.

성창용 위원장은 “최근 1~2년새 부산에서 사실상 처음 제기되어 구체화 되고 있는 「시민주도 에너지 공공개발방법으로서 제4섹터 방식」이 작금의 탄소중립시대에서 「탄소중립을 위한 직접사업」 자체에 치중하기 급급한 지금의 사정을 뛰어넘어 「부산형 새로운 경제성장모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우선 부산시부터라도 이를 반영한 적극적 행정이 이뤄지도록 의정활동을 펼쳐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부산에서는 한국에너지전환사업단과 부산경제사회적협동조합연합회(회장 최정우) 등의 사회적기업그룹과 (사)기후변화에너지대안센터(이사장 차연근)와 부산불교환경연대(상임대표 안도), (사)초록지붕(공동대표 최종태 등) 등 부산지역의 환경·에너지 관련 시민사회·종교단체등 60여개의 기관 및 단체가 지난 3월 「탄소중립 인프라 확충 및 지역사회 녹색경제 활성화 촉진 범시민 프로젝트 공동추진 협약식」을 갖고 '제4섹터 방식 부산형 시민에너지공공개발 범시민운동'을 본격적으로 전개해오고 있다.

<대표기자>

저작권자 ⓒ 인저리타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