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민운동단체연합 회원들이 24일 부산시의회 브리핑룸에서 '이기대 입구 고층아파트 건설 중단 촉구'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 [사진=조송현]
부산 이기대 입구에 추진 중인 고층 아파트 건설 계획을 두고 시민사회의 반대 목소리가 거세다. 부산시 주택사업공동위원회가 25일 해당 사업의 통합심의를 앞둔 가운데, 부산시민운동단체연대는 24일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천혜의 자연경관과 예술공원을 훼손하는 난개발을 멈춰야 한다”며 사업 부결을 강력히 요구했다.
부산시민단체연대는 “사업자 측이 기존 3개 동을 2개 동으로 축소하고 세대수도 308가구로 줄였다고 하지만, 28층짜리 두 동이 이기대 입구의 바다와 갈맷길 조망을 완전히 가로막고 결국 용적률은 기존 계획과 다를 바 없다”고 비판했다. 실제로 개발 예정지는 '제2종 일반주거지역'임에도 '지구단위계획구역 지정 의제제도'를 활용, 최대 용적률을 250%까지 올렸으며, 실상은 민간사업자의 수익 극대화를 위한 편의행정이라는 주장이다.
특히 부산시가 이 지역을 예술공원으로 지정해 국제적 수준의 예술시설 유치를 추진하면서, 바로 옆에 초고층 아파트 건설이 허가된다면 공원의 조망권 파괴, 공공적 가치 훼손은 불가피하다는 우려가 높다. “문화인프라와 도시계획이 시민이 아니라 개발 이익에 복무하는 결과”라는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부산시는 그동안 이기대공원을 보존녹지로 지정하고 개발행위를 불허했으며, 수변관리 기본계획을 통해 경관 보전을 강조해왔다. 그러나 이번 사업계획은 이러한 방향성에 완전히 배치되는 시도로, “이기대를 대표 해안경관 자원으로 육성하겠다는 부산시의 말이 무색하다”는 지역주민의 목소리가 높다.
해당 사업의 주최인 아이에스동서가 과거 W아파트 개발 과정에서 특혜 시비를 빚었던 점, 이번 아파트 계획이 1년 만에 주민 공론화 없이 다시 제출된 것에 지역사회 반발도 거세다. 감사원이 과거 사업 과정에서 부당 토지매입, 분포문화체육센터 기부채납 등 편법적 협상을 지적하고 행정 기관의 책임을 물었으나, 실질적인 개선책은 아직 없다는 것이 시민단체의 주장이다.
이날 기자회견에서 시민사회는 “공공성을 저버리고 지속가능성 없는 개발로 일관하는 부산시 행정을 더 이상 두고볼 수 없다”며 “이기대 입구 아파트 건설 심의는 반드시 부결돼야 한다”고 거듭 촉구했다.
이번 논란은 부산시 도시계획이 공공성, 경관 보전, 지속가능성을 중심에 두고 운영될 수 있을지 시민적 관심과 경각심을 크게 불러일으키고 있다.
한편 부산 남구 이기대 입구 아파트 건립과 관련해 부산시 주택사업공동위원회는 지난해 2월 해당 사업을 ‘조건부 승인’ 심의한 바 있다. 이 회의에서 사업자(아이에스동서)가 제출한 3개 동 319가구 규모의 아파트 건립안이 스카이라인 등 경관 조화, 기반시설 제공, 도시계획적·공공적 가치 보전 등의 조건부로 통과됐으며, 이후 난개발 논란과 지역사회 반발로 사업자가 사업안을 잠정 철회한 바 있다.
<대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