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명호의 만주 일기 ... (4)만주 봉천奉天, 심양 아이러니

박명호 승인 2019.04.22 08:26 | 최종 수정 2019.06.24 20:16 의견 0

만주 봉천, 심양沈陽역의 노을

심양서탑...라마양식으로 세워진 청조의 호국안민을 기원하는 동서남북 네 탑 중 하나...주변에 조선족 한인들이 많이 살고 있다.
심양서탑. 라마양식으로 세워진 청조의 호국안민을 기원하는 동서남북 네 탑 중 하나다. 주변에 조선족 한인들이 많이 산다. 사진=박명호

심양역 역사(驛舍) 위로 붉은 해가 지고 있었다. 서울역과 흡사한 웅장한 돔 형식 지붕 위로 해가 지는 장면은 장관이었다. ‘해가 지다’는 이 도시의 이름(沈陽)과 기가 막히는 어울림이다. 아니, 차라리 아이러니에 가깝다. 인구 1,000만 명에 가까운 만주 제일의 도시로 발전한 이 도시의 이름이 ‘해가 진다’는 지극히 패배적이고 감상적인 이름인지 의아하지 않을 수 없다.

심양의 옛날 이름이 ‘하늘을 받들다’는 뜻의 봉천(奉天)이었다는 것을 생각하면 정말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어째서 ‘하늘을 받들다’는 도시에서 그 정반대의 뜻을 지닌 ‘해가 침몰하는(沈陽)’ 이름이 되었을까.

심양沈陽이라는 이름의 뜻처럼 심양역 지붕 위로 해가 진다. 사진=박명호

‘심양’이라는 이름에는 한족들의 배만민족의(만주를 배척하는 민족주의)가 담겼다. 사실 그들은 봉천뿐만 아니라 ‘만주’라는 이름도 사용하지 않는다. 그리고 만주를 아예 3등분하여(흑룡강성, 길림성, 요녕성) ‘동북3성’ 또는 ‘동북’이라 한다. 과거 만주족의 지배를 받으며 엄청난 치욕을 감수했던 한족인지라, 청조가 망하자 만주를 배척하는 민족주의가 기승을 부렸고, 그래서 만주족은 거꾸로 한족에게 많은 경계와 박해를 받았다. 옛 청나라 수도의 상징인 고궁 정문의 코앞에 위압하듯이 높이 솟은 건물은 다분히 의도적이다. 만주의 모든 기운을 짓눌러 버리는 자세다.

심양은 기원전 연나라부터, 한(漢)-고구려-당-요-금-청으로 근대 만주국에서 현재 중국에 이르기까지 그야말로 파란만장한 역사를 거치면서 만주의 중심에 서 있었다. 당연히 우리와도 많은 역사가 얽혀 있다. 병자호란 때는 봉림대군(후에 효종)을 비롯한 수많은 사람들이 이곳으로 잡혀왔고, 만주국 시절에는 돈벌이 떠나는 조선 사람들의 중심이 되어 온 곳이다. 이곳은 지금도 30만 명의 조선족이 살고 있고 한국의 기업인, 유학생 등도 많다.

그런데 더 큰 아이러니는 정작 만주에는 만주가 없다는 것이다. 만주 어디를 가도 만주는 흔적만 있을 뿐이다. 중국을 300년이나 그것도 거의 현대까지 지배했던 만주족의 흔적이 별로 남아 있지 않다는 것은 잘 이해가 가지 않는다. 아무리 중국인(한족)들의 만주족을 배척하는 민족주의와 만주 흔적 지우기가 극심했다 해도 고궁 정도의 유적만 있다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 몇 곳에 만족자치현이 있기는 하다. 하지만 그곳에 조선족 문화관이나 학교는 있어도 만족 문화관이나 학교는 없다. 어떻게 보면 우리로서는 우리와 가장 이웃하는, 그래서 가장 닮은 민족과 문화권을 잃어버린 꼴이니 아쉽지 않을 수가 없다. 사실 만주와 우리는 역사, 문화, 혈통 등 모든 측면에서 겹쳐지는 부분이 상당히 많다. 그들이 건재하다면 지금 양국 간에 문제가 되고 있는 동북공정이니 고구려사 침탈이니 하는 문제도 완충 지대가 되었을 것이다.

4심양고궁의 위용
심양고궁의 위용. 사진=박명호
267 고궁에 결려 있는 옛 만주족 모습
심양고궁에 결린 옛 만주족 모습.

아낙도 우두머리도 돌볼 새 없이 갔단다
도래샘도 띳집도 버리고 강 건너로 쫓겨갔단다
고려 장군님 무지무지 쳐들어와
오랑캐는 가랑잎처럼 굴러갔단다

구름이 모여 골짝졸짝을 구름이 흘러
백 년이 몇 백 년이 뒤를 이어 흘러갔나
너는 오랑캐의 피 한 방울 받지 않았건만
오랑캐꽃
너는 돌가마도 털메투리도 모르는 오랑캐꽃

두 팔로 햇빛을 막아 줄게
울어보렴 목놓아 울어나 보렴 오랑캐꽃

이용악은 ‘오랑캐꽃’란 시에서 오랑캐(만주)민의 소외와 설움을 연민의 정으로 노래했다. 물론 이용악 자신도 망국의 백성 조선인이었고, 조선에서도 설움 많은 변방인 함경도 출신이어서 동병상련의 심정일 것이지만 만주족은 중국이나 조선으로부터도 소외되었다. 반면 우리에게는 대륙 진출의 꿈을 실현하는 장소이기도 했으니 이 또한 아이러니다.

심양고궁 앞에 우뚝 솟은 현대빌딩...만족족의 기를 누르고자 하는 한족의 의지가 담겨 있다.
심양고궁 앞에 우뚝 솟은 현대빌딩. 만족족의 기를 누르고자 하는 한족의 의지가 담겨 있다.

실제 조선 사람들이 만주에서 살아가는데 그리 나쁜 대접을 받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같은 시기에 내지(일본)로 갔던 조선 사람들이 받았던 민족적 차별의식이 그쪽에선 별로 없었다. 만주국 시절에 그들은 2등국민 대우를 받았다. 일본인-조선인-중국인(한족)-만주인 등의 계급이 존재했다. 그것을 가장 단적으로 보여주는 유곽의 여자 값이 그 순서로 등급 지어졌다. 어떻게 보면 조선 사람들은 만주 사람들에게 으스댔다고 할 수 있을 정도였다. 피지배 백성이면서 지배백성이었던 그들 또한 아이러니다.

박명호

봉천이 얼마나 좋으면
꽃과 같은 나를 두고
만주 봉천 가느냐...

진도 아리랑에서까지 살기 좋은 곳으로 노래하고 있다. 봉천은 당시 만주의 상징 도시였다. 고생한 사람들도 있었겠지만 그래도 가난에 찌든 사람들이나 혈기 왕성한 젊은이들에게는 분명 신천지에 대한 꿈을 제공한 곳이었던 것만은 사실인 것 같다. 그래서 너도 나도 봉천 가는 기차를 탔다. 개장수를 할지라도... 그것 또한 아이러니다.

<소설가>

저작권자 ⓒ 인저리타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