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득수 시인의 명촌리 사계(四季) 15 : 봄소식 - 산나물의 대표 취나물 & 미역취

이득수 승인 2021.04.17 16:30 | 최종 수정 2021.05.01 21:19 의견 0
취나물(나물추) [사진 = 이득수]

◆산나물의 대표 취나물

우리나라 산나물의 대표로서 육군의 보병처럼 모든 산채정식과 묵나물의 기본재료가 되는 취나물입니다. 그래서 언양지방에서 아예 나물추라 부르기도 하고 곤달비(곰취)와 대칭개념으로 양달비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이른 봄엔 향긋한 봄향기로 다가오는 이 복스러운 산나물은 낮은 언덕이나 도랑가에도 자라고 깊은 산속에서도 잘 자라는데 해발고도가 높을수록 부드럽고 향도 진합니다. 그래서 산골사람이나 언양5일장의 할머니들은 그냥 산나물이 아니라 <깊은 산의 나물> 또는 <가지산의 나물추>, <신불산의 배배추>등으로 따로 부르기도 합니다.

예로부터 우리조상들은 봄에 딴 산나물을 이듬해 겨울을 지나 새 나물이 나올 때까지 일종의 저장식품인 묵나물(묵은 나물)을 만들어 먹었는데 여러 종류의 나물을 섞을수록 맛이 좋다고 하는데 그 묵나물 재료의 반 이상을 차지하는 것이 바로 이 나물추입니다.

묵나물은 여러 종류의 나물을 삶아 말려 요즘 유행하는 컬링공처럼 동그랗게 뭉치고 메주처럼 대여섯 가닥의 짚으로 감싸 햇빛이 안 드는 곳에 매달아 건조와 자연발효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한 자연식품으로 깊고 오묘한 풍미를 풍깁니다. 지금쯤이며 야산이건 큰 산이건 개울가든 골짜기든 어디에든 발견할 수가 있고 초가을에는 키가 무릎까지 자라 연밥처럼 동그랗게 뭉친 하얀 꽃송이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미역취 [사진 = 이득수]

◆미역취

미역처럼 잎이 길쭉해서 미역취인지 모르겠습니다만 언양지방에서는 미역추라고 부릅니다. 나물추에 이어 두 번째로 흔한 산나물로서 묵나물을 이루는 원투펀치에 해당됩니다. 매우 부드럽고 식감도 향기도 다 좋은데 잘못 삶으면 보글보글 거품이 나 좀 그렇긴 합니다. 미역취라 나물국으로도 무난하지만 특히 어릴 적 나물죽으로 많이 먹은 기억이 납니다.

야산, 고산 할 것 없이 두루 자생하며 논밭의 둑에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제가 아는 자생지는 신불산에서 남쪽 취서산 방향 언덕 너머 동쪽 비탈면에 자부룩한 군집을 이루고 있으며 다른데 보다 나물이 크고 북시럽습니다. 가을이 되면 제법 높게 자라며 하얀 꽃이 피기도 합니다.

平理 이득수 시인
平里 이득수 시인

◇이득수 시인은

▷1970년 동아문학상 소설 당선
▷1994년 『문예시대』 시 당선
▷시집 《끈질긴 사랑의 노래》 《꿈꾸는 율도국》 《비오는 날의 연가》 등
▷포토 에세이집 『달팽이와 부츠』 『꿈꾸는 시인은 죽지 않는다』 등
▷장편소설 「장보고의 바다」(2018년 해양문학상 대상 수상작)

저작권자 ⓒ 인저리타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