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름이 오든 가든 산은 다투지 않는다(前篇)

구름이 오든 가든 산은 다투지 않는다(前篇)

조송원 승인 2017.08.30 00:00 의견 0

꽃이 피든 지든 구름이 오든 가든 산은 상관하지 않는다(花開花謝春何關 雲去雲來山不爭). 지리산 서북댐(by 이석찬).  국립공원관리공단 제공.

送人 정지상

雨歇長堤草色多(우헐장제초색다) 送君南浦動悲歌(송군남포동비가) 大同江水何時盡(대동강수하시진) 別淚年年添綠波(별루연년첨록파)

비 갠 긴 둑에 풀빛이 짙은데 남포에는 임 보내는 슬픈 노래 떠도네. 대동강 물이 그 언제 마를까 이별 눈물 해마다 푸른 물결에 보태어지니.

김부식은 측간에서 일을 보다가 죽은 정지상의 화신인 도깨비가 불알을 잡아당겨 죽었다고 한다. 물론 야사에 전하는 이야기이다. 아마 이 풍설은 김부식을 미워하고 정지상을 동정한 사람들이 지어낸 소문일 것이다.

‘묘청의 반란’의 역사적 사실과 의미(신채호의 ‘조선역사 일천년래 제일대사건’)는 잠시 옆으로 밀어두자. 문학의 향기를 좀 쐬기 위해서.

당시 관료 출신 문사들이 시회(詩會)를 열곤 했는데, 이 시회에서 군계일학으로 주름 잡던 문사는 김부식이었다. 한데 어느 날 서경 출신의 낮은 벼슬아치인 정지상이 등장하여 시재를 뽐냈다. 김부식을 능가할 정도로 명망이 높아졌다.

절간에 염불 소리 그치니(琳宮梵語罷) 새벽 하늘빛 맑은 유리로다(天色淨琉璃)

절에서 새벽 예불은 어둑한 첫새벽에 올린다. 그 염불이 끝날 때쯤이면 새벽 하늘이 밝아진다. 이 과정을 청각(염불 소리)으로 시작하여 시각(유리)으로 간명히 표현했다. ‘이별의 눈물로 대동강이 마를 수 없다’는 시적 상상력을 발휘하는 정지상으로서는 대수롭지 않게 일필휘지한 시구(詩句)였을망정 시를 아는 김부식이 탐낼 만했다.

하여 김부식은 이 구절을 빌려주면 뒷부분은 자신이 맞추겠다고 제의했다. 정지상은 한마디로 거절했다. 정지상이 장원 급제하여 조정에 나왔을 때 김부식은 중견관리였다. 더구나 정지상은 지방(서경)의 한미한 가문 출신이었고 김부식은 서울(개경)의 명문 출신이었다. 그러니 김부식은 정지상이 자신과 어울리는 것만으로도 영광으로 여겨야 하거늘 감히 거절하다니, 몹시 자존심이 상했을 것이다. 정지상은? 어쩜 더 자존심이 상했을 것이다. 고작 그 따위로 시문을 자랑하다니, 짜식이 말이야. 네가 시를 알아!

정지상은 김부식에게 죽임을 당한다. 김부식도 정지상의 귀신에게 죽임을 당한다. 호사가가 지어낸 이야기일 수도 있고 세상인심일 수도 있다.

그렇지만 글 쓰는 사람의 글 욕심 혹은 ‘글 탐’은 그냥 써놓은 글 읽는 사람의 상식을 초월한다. 시구 한 두 줄 때문에 죽이고 죽임을 당한다는 상황 설정은 결코 허튼 일이 아니다.

규방의 아가씨 낯빛을 아끼어 떨어지는 꽃을 보며 길게 탄식하네. 올해 꽃 지면 낯빛도 바뀔 테니 내년 꽃 필 때면 뉘 얼굴이 지금 그대로일까?

<해가 가도 꽃은 다시 피어 비슷하지만 해가 가면 사람들은 그 얼굴이 아니라네.>

저 늙은이 백발 참으로 가엽게 보이겠지만 그도 옛날에 낯 붉던 젊은이였다오.

송지문의 칠언고풍장편(七言古風長篇)인 ‘유소사’(有所思. 생각나는 바 있어)의 일부이다. 이 시는 꽃 같은 봄날을 보낸 늙은이의 우수를 잘 그려낸 작품이다. 문제는 < >부분이다.

年年歲歲花相似(연년세세화상사) 歲歲年年人不同(세세연년인부동)

본디 이 시는 송지문의 사위인 유희이가 지은 것인데, 송지문이 위의 두 구절을 달라고 했으나 응하지 않자, 사위를 죽이고 빼앗았다는 일화가 전해온다. 물론 당대의 대시인인 송지문이 시구 하나 때문에 사위를 죽였다는 이야기는 믿을 수 없다. 그러나 위의 두 시구가 훌륭하다는 것과 소객(騷客)의 ‘글 탐’을 방증하는 일화라고 할 수 있다.(박일봉 편역. 고문진보. 시편)

필자도 한때 훔치고 싶은 시구가 있었다. 하여 적당히 글눈 밝은 사람에게나 사랑하는 사람에게 내 시상(詩想)인 양 속이고 싶을 정도로 참 좋은 대구를 발견하고 무릎은 친 적이 있었다. 물론 그럴 계제가 없어 실행은 못했지만...

乍晴還雨雨還晴(사청환우우환청) 天道猶然況世情(천도유연황세정) 譽我便是還毁我(예아변시환훼아) 逃名却自爲求名(도명각자위구명) 花開花謝春何關(화개화사춘하관) 雲去雲來山不爭(운거운래산부쟁) 寄語世人須記認(기어세인수기인) 取歡無處得平生(취환무처득평생)

갰다가는 비 오고 비 오다가 또 개네. 하늘의 이치도 이렇거늘 하물면 세상 인심이야. 나를 칭찬 하는가 했더니 곧 나를 헐뜯고 명예를 피한다더니 도리어 얻고자 애쓰네. 꽃이야 피든 지든 봄은 상관하지 않고 구름이 오든 가든 산은 다투지 않네. 사람들에게 말하노니 부디 기억해두오. 평생 누릴 즐거움은 아무데도 없다는 것을.

설잠(雪岑) 김시습의 칠언율시이다. 이 시의 전체적인 맥락으로 보면 지은이가 서당 훈장이거나 현대의 윤리교사 같아 따분하다. 그렇지만 기승전결의 전에 해당하는 5・6 구는 속세를 과감히 버린 은자만이 노래할 수 있는 절창이지 않은가.

花開花謝春何關 雲去雲來山不爭

꽃이 피든 지든 무심히 봄날은 가고, 구름이 피어나든 스러지든 산은 그저 묵묵히 그대로이다. 아, 뭔가 언표(言表)할 수는 없지만 미소 짓게 하는 가벼운 흥분에 즐겁지 아니한가!

이 시구를 보고 나니, 필자에겐 산에 구름이 일고 스러지는 양이 예전과는 달리 보였다. (곧 후편을 싣겠습니다.)


저작권자 ⓒ 인저리타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