難得湖塗 - 바보 되기 어려워라 !
聰明難(총명난), 糊塗難(호도난)
- 총명하기는 어렵고, 어리석기도 어렵다.
由聰明轉入糊塗更難(유총명전입호도갱난)
- 총명한 사람이 어리석게 되기는 더욱 어렵다.
放一着(방일착), 退一步(퇴일보), 當下心安(당하심안)
- 집착을 버리고, 한 걸음 물러서는 순간 마음이 편해지니,
非圖後來福報也(비도후래복보야).
- 이는 훗날 복 받기를 바라서가 아니다.
중국 청(淸)나라의 화가 겸 서예가로 유명한 정섭(鄭燮 1693~1765, 호는 板橋판교)의 글이다. 위 구절은 중국인들이 가장 좋아하는 사자성어인‘난득호도(難得糊塗)’에 대한 부연 설명이다. ‘난득호도’를 글자 그대로 해석하면 ‘어리숙해 보이는 게 어렵다’는 뜻이다. 겉과 속이 다르고 쉽게 속내를 드러내지 않는 중국인들의 입맛에 꼭 맞는 성어다. 이 말이 나온 유래는 다음과 같다.
산둥성(山東省)의 지방관으로 근무하던 정판교는 어느 날 먼 친척으로부터 한 통의 편지를 받았다. 편지에는 조상 대대로 물려받은 가옥의 담장을 놓고 이웃과 송사가 벌어졌으니 지방관에게 잘 봐달라는 편지 한 통을 써달라는 청탁이 적혀 있었다. 정판교는 편지를 다 읽은 뒤 시(詩) 한 수를 답장 대신 보냈다.
千里捎書爲一墻(천리소서위일장), 讓他幾尺又何妨(양타기척우하방).
萬里長城今猶在(만리장성금유재), 不見當年秦始皇(불견당년진시황).
- 천 리나 편지를 보낸 것이 담장 하나 때문인가? 그에게 몇 자를 양보하면 또 어떤가?
만리장성은 아직도 남아 있는데 어찌 진시황은 보이질 않는가.
그는 이 시와 함께 <난득호도(難得糊塗)> 와 <흘휴시복(吃虧是福)> 이라 직접 쓴 편액을 함께 친척에게 보냈다.
喫虧是福 - 손해보는 것이 복이다. (밑지는 게 남는 것이다)
滿者損之機(만자손지기) 가득참은 덜어냄의 기미요,
虧者盈之漸(휴자영지점) 비어 있음은 채움의 출발점이라.
損於己則盈於彼(손어기즉영어피) 내게서 덜어내면 남에게 채워진다.
外得人情之平(외득인정지평) 밖으로는 인정의 평온을 얻고
內得我心之安(내득아심지안) 안으로는 내 마음의 편안을 얻어
旣平且安(기평차안) 福卽在是矣(복즉재시의) 이미 평온하고 편안하니 복이 바로 여기에 있다.
宋나라의 철학자인 邵康節(邵雍소옹 1011~ 1077) 선생에게 어떤 사람이 찾아와서 묻되, 무엇이 길흉화복입니까 (有人來問 如何是禍福 유인래문복 여하시화복) 하니, 내가 남에게 손해를 끼치는 것이 禍이고 남이 나에게 손해를 끼치는 곳이 福이니라 (我虧人是禍 人虧我是福 아휴인시화 인휴아시복) 하였다 하니 이 말씀 또한 <喫虧是福(끽휴시복)> 과 상통하는 데가 있다.
有人來問(유인래문) 如何是禍福(여하시화복) 我虧人是禍(아휴인시화) 人虧我是福(인휴아시복)
▶정민(鄭珉) 교수의 『세설신어(世說新語)』 중에서
[163] 난득호도(難得糊塗)
명나라 장호(張灝)가 고금의 경구(警句)를 새긴『학산당인보(學山堂印譜)』에 ‘총명하지 않을수록 더 쾌활해진다(越不聰明越快活)’ 란 구절이 나온다. 똑똑한 사람들은 걱정이 많다. 한 번 더 가늠해 한 발 앞서 가려니 궁리가 늘 많다. 이겨도 마음이 개운치가 않다. 금세 누가 뒷덜미를 채갈 것만 같다. 좀 모자란 바보는 늘 웃는다. 이래도 웃고 저래도 웃는다.
얻고 잃음에 무심해야 쾌활이 찾아든다. 여기에 얽매이면 지옥이 따로 없다. 똑똑한 사람이 그 똑똑함을 버리고서 쾌활을 얻기란 실로 어렵다. 똑똑하면 꼭 똑똑한 티를 내야 하고, 조금 알면 아는 체를 해야 직성이 풀린다. 나대는 마음을 꾹 눌러 저를 툭 내려놓을 때 비로소 시원스럽다.
청나라 때 서화가 정섭(鄭燮 1693~1766)의 글씨에 이런 내용이 있다. ‘총명하기가 어렵지만 멍청하기도 어렵다. 총명함을 거쳐 멍청하게 되기는 더더욱 어렵다. 집착을 놓아두고, 한 걸음 물러서서 마음을 내려놓는 것이 어찌 뒤에 올 복의 보답을 도모함이 아니겠는가? - 聰明難,糊塗難,由聰明轉入糊塗更難. 放一著,退一步,當下心, 安非圖後來福報也.’ 멍청하기가 총명하기보다 어렵다. 가장 어려운 것은 총명한 사람이 멍청하게 보이는 것이다.
난득호도(難得糊塗)란 말이 여기서 나왔다. 호도(糊塗)는 풀칠이니, 한 꺼풀 뒤집어써서 제대로 보지 못한다는 말이다. 난득(難得)은 얻기 어렵다는 뜻이다. 난득호도는 바보처럼 굴기가 어렵다는 의미다. 다들 저 잘난 맛에 사니, 지거나 물러서기 싫다. 손해 보는 것은 죽기보다 싫다. 더 갖고 다 가지려다가 한꺼번에 모두 잃는다. 결국은 난득호도의 바보정신이 이긴다.
『학산당인보』에는 ‘통달한 사람은 묘하기가 물과 같다(達人妙如水)’ 란 구절도 있다. 물의 선변(善變)을 배워 지녀야 달인이다. 능소능대(能小能大), 어디서든 아무 걸림이 없다. ‘선비는 죽은 뒤의 녹을 탐한다(士貪以死祿)’ 고도 했다. 살아 내 배 불리는 그런 녹보다 죽은 뒤에도 죽지 않고 따라오는 녹, 후세가 주는 녹, 떳떳하고 의로운 삶 앞에 주어지는 녹을 욕심낼 뿐이다. ‘입이 재빠른 자는 허탄함이 많고 믿음성은 부족하다(口銳者多誕而寡信)’ 란 말도 보인다. 지혜를 감추고, 예기(銳氣)를 죽여라. 입으로 일어나 입으로 망한다.
[164] 끽휴시복(喫虧是福)
정승 조현명(趙顯命 1690~1752)의 아내가 세상을 떴다. 영문(營門)과 외방에서 부의(賻儀)가 답지했다. 장례가 끝난 후 집사가 물었다. “부의가 많이 들어왔습니다. 돈으로 바꿔 땅을 사 두시지요.” “큰아이는 뭐라던가?” “맏상주께서도 그게 좋겠다고 하십니다.” 조현명이 술을 취하도록 마시고 여러 아들을 불러 꿇어 앉혔다.
“못난 놈들! 부의로 들어온 재물로 토지를 사려 하다니, 부모의 상을 이익으로 아는 게로구나. 내가 명색이 정승인데 땅을 못 사 굶어 죽기야 하겠느냐? 내가 죽으면 제사 지낼 놈도 없겠다.” 매를 몹시 때리고 통곡했다. 이튿날 부의로 들어온 재물을 궁한 일가와 가난한 벗들에게 고르게 나눠 주었다.
이는『해동속소학(海東續小學)』 에 나오는 이야기이다.
청나라 때 판교(板橋) 정섭(鄭燮)이 유현(濰縣) 현령으로 있을 때 일이다. 고향의 아우가 편지를 보내왔다. 집 담장 때문에 이웃과 소송이 붙었으니, 현감에게 청탁해 이기게 해달라는 내용이었다. 정섭은 답장 대신 시 한 수를 썼다.
“천리 길에 글을 보냄 담장 하나 때문이니, 담장 하나 양보하면 또 무슨 상관인가? 만리 쌓은 장성은 여태 남아 있지만, 당년에 진시황은 보지도 못했다네. - 千里告狀只爲墻,讓他一墻又何妨. 萬里長城今猶在,不見當年秦始皇.”
이와 함께 <끽휴시복(喫虧是福)> 네 글자를 써 보냈다. 밑지는 게 복이라는 뜻이다. 그 아래 쓴 풀이 글은 이렇다.
“가득참은 덜어냄의 기미요, 빈 것은 채움의 출발점이다. 내게서 덜어내면 남에게 채워진다. 밖으로는 인정의 평온을 얻고, 안으로는 내 마음의 편안함을 얻는다. 평온하고 편안하니, 복이 바로 여기에 있다. - 滿者損之機, 虧者盈之漸. 損於己則盈於彼, 外得人情之平, 內得我心之安. 旣平且安, 福卽在是矣.)”
아우가 부끄러워 소송을 포기했다.
성대중(成大中 1732~1809)은 말한다. “성대함은 쇠퇴의 조짐이다. 복은 재앙의 바탕이다. 쇠함이 없으려거든 큰 성대함에 처하지 말라. 재앙이 없으려거든 큰 복을 구하지 말라. - 盛者衰之候, 福者禍之本. 欲無衰, 無處極盛. 欲無禍, 無求大福.)” 떵떵거려 끝까지 다 누릴 생각 말고, 조심조심 아껴 나누며 더불어 살아가야 그 복이 길고 달다. 재앙은 부엌문이 열리기만 기다리는 배고픈 개처럼 틈을 노린다.
▶‘非圖後來福報也’의 해석 문제
일반적으로 풀이하자면
1. ‘후래복보(後來福報)’ 를 도모함이 아니다
즉, ‘나중에 올 복을 받고자 일부러 하는 것이 아니다 / 이는 훗날 복 받기를 바라서가 아니다’ 정도로 해석한다.
2. ‘후래복보(後來福報)’ 를 도모함이 아니겠는가 / 뜻하지 않으면 후에 복으로 보답이 온다
즉 반어문으로 보아 결국 나중에 복으로 돌아온다고 풀이하는 것이니, 이야말로 세속인들의 바람에 부합하는 해석이다.
그런데 정민 교수는 윗글에서
앞 구절의 ‘當下心安’의 安을 뒷 구절에 붙여 ‘어찌 ~하지 않으랴’ 라고 풀이했다.
‘當下’ 는 ‘곧 바로, 즉시, ~하는 그 순간’ 이라는 뜻인데, 정 교수는 ‘當下心 - 마땅히 하심하라’ 고 풀이하고 ‘心安’ 의 安을 부사 ‘어찌 安’ 으로 보아 뒷 구절로 붙였다.
그런 즉 풀이하자면, ‘어찌 훗날 복이 돌아와 되갚지 않겠는가’ 로 해석한 것이다.
끝으로 나의 판단을 이야기하자면
‘바보로 사는 이러한 행위가, 지금(當下) 내 마음이 편안하면 그뿐 꼭 뒷날 복이 돌아와 갚아줄 것을 바라서가 아니다’ - ‘결코 훗날의 복을 도모하지 않는다’ 는 것이 정판교의 본의(本意)일 것 같다. (* 이는 <끽휴시복>에서 ‘內得我心之安’ 이라는 구절을 보더라도 이렇게 해석하는 것이 옳을 것이다.) 그러나 세상 사람들은 이마저도 술수나 책략의 처세술로 받아들여 ‘나중에 반드시 복으로 되갚아줄 것을 믿고 바라는 것이 아닐까’ 라고 생각해 본다.
▶정판교의 글씨에 대하여
판교 정섭(板橋 鄭燮 1693~1766)은 중국 청나라 초기의 문인이자 서예가로 당시 ‘여덟 명의 괴짜’ 로 세간의 이목을 집중시키던 ‘양주팔괴(揚州八怪) 중 으뜸가는 인물이었다.
그의 글씨는 판교체(板橋體)라는 경지를 열어 황정견(黃庭堅 1045~1105)의 산곡체(山谷體)와 더불어 괴이하면서도 자유분방한 서체를 구사하고 있으며, 특별히 그의 서체를 <난석포가체(亂石鋪街體)>라고 하여 마치 길바닥에 돌맹이를 이리저리 널어놓은 것 같다고 평했다.
그의 시(詩)는 체제에 구애받음이 없었고, 서(書)는 고주광초(古籒狂草)를 잘 썼다. 행해(行楷)에 전예(篆隸)를 섞었는데, 그 사이에 화법(畵法)도 넣어서 해방적인 독자적 서풍을 창시하였다. 팔분(八分)에 대하여 그의 서체를 육분반서(六分半書)라 평하는 사람도 있다. 화훼목석(花卉木石)을 잘 그렸으며, 특히 뛰어난 것은 난(蘭)·죽(竹)으로서 상쾌한 감이 있는 작품이 많다. 당시의 사람들이 그의 글씨나 그림을 구하면 보배를 얻은 것처럼 소중하게 여길 정도로 훌륭한 작품을 많이 남겼습니다.
* 鄭板橋가 쓴 <難得糊塗> <喫虧是福/吃虧是福> 두 필체는 스스로 ‘六分半書(육분반서)’ 또는 ‘亂石鋪街體(난석포가체)’라 불렀다. ‘六分半書’ 는 보통 隸書(예서)를 ‘八分’ 이라고 하는데 隸(예)도 篆(전)도 아닌 자기의 필체를 낮추어 부른 것이고, ‘亂石鋪街體’ 는 ‘자갈로 깔린 길’ 과 비슷하다고 하여 다소 해학적으로 붙인 이름이다.
정판교가 산동에 부임한 어느 날, 하루는 내주(箂州)의 운봉산(雲峯山)으로 유람을 갔다. 원래 목적은 산중에 있는 정문공비(鄭文公碑)를 감상할 예정이었는데 시간이 늦어 산중에 있는 오두막집에 머물게 되었다. 집주인은 스스로 <호도노인(糊塗老人)>이라고 칭하는 유학자 같은 모습이었다. 주인은 집안에 탁자만큼이나 큰 벼루 하나를 가지고 있었는데, 조각이 아주 뛰어나 판교는 감탄을 금치 못했다.
다음날 아침 주인은 정판교에게 벼루의 뒷면에 써 넣을 글을 한 편 부탁했다. 정판교는 흥이 일어 그 자리에서 <난득호도> 라는 글씨를 써 주면서 그 아래에 <康熙秀才강희수재 擁正擧人옹정거인 乾隆進士건륭진사 - 정판교는 강희제 때 현(縣)에서 시행한 과거에 급제하여 수재의 칭호를 얻었고, 옹정제 때 성(省)에서 실시하는 향시에 급제하여 거인에 올랐고, 건륭제 때 중앙의 과거에 급제하여 진사가 되었음을 자랑삼아 새긴 것> 라고 새긴 낙관을 해 주었다.
벼루가 컸으므로 아직 여유가 남아 정판교는 주인에게 발어(跋語)를 부탁했다. 그러자 주인은 붓을 들어 <得美石難득미석난 得頑石又難득완석우난 由美石轉入頑石更難유미석전입완석갱난 美於中미어중 頑於外완어외 藏野人之廬장야인지려 不入富貴門也불입부귀문야 - 아름다운 돌을 얻는 것은 어렵고 단단한 돌을 얻기란 더욱 어렵다. 아름다운 돌이 단단한 돌로 바뀌기란 더더욱 어렵다. 아름다움은 가운데 있고 단단함은 바깥에 있으니 야인의 초가집에 숨어있고 부귀한 집의 문을 드나들지 않는다.> 라고 썼다.
그리고는 도장을 하나 찍었는데, 그 도장에는 이렇게 새겨 있었다.
<院試第一원시제일 鄕試第二향시제이 殿試第三전시제삼 - 세 단계의 과거시험을 보아 각각 1, 2, 3 등>
정판교는 이를 보고 깜짝 놀랐으며, 이 노인이야말로 은퇴한 고관이며, 호도노인이란 자신을 숨기기 위해서 지은 이름임을 알고는 깨달은 바가 있어 <難得糊塗> 의 아래에 다음과 같은 글귀를 추가했다.
- 聰明難총명난,糊塗難호도난,由聰明轉入糊塗更難유총명전입호도갱난. 放一著방일착,退一步퇴일보,當下心安당하심안, 非圖後來福報也비도후래복보야
<배움의 공동체 - 학사재(學思齋) 관장>
저작권자 ⓒ 인저리타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