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검색
로그인
회원가입
검색
마이페이지
전체 메뉴
전체 메뉴
삶과 생각
나의 삶 나의 생각
문학예술
인타임&책세상
음악풍경
강의·강연
지식· 정보
사람 이야기
장소시학
인문학당 달리
인본세상
독자마당
칼럼&인터뷰
칼럼
의견·제안
생활법률
인터뷰
언저리 뉴스
정치
경제
사회·교육·행정
세계
지역
환경·생활·문화
부산항 소식
사이언스
우주·물리
기술·IT
생물·인간
생활과학&뉴스
우주관 오디세이
과학 에세이
건강&레저
연예
스포츠
건강
취미&레저
운세&풍수
포토&영상
포토
영상
다문화
미얀마
다문화광장
삶과 생각
나의 삶 나의 생각
문학예술
인타임&책세상
음악풍경
강의·강연
지식· 정보
사람 이야기
장소시학
인문학당 달리
인본세상
독자마당
칼럼&인터뷰
칼럼
의견·제안
생활법률
인터뷰
언저리 뉴스
정치
경제
사회·교육·행정
세계
지역
환경·생활·문화
부산항 소식
사이언스
우주·물리
기술·IT
생물·인간
생활과학&뉴스
우주관 오디세이
과학 에세이
건강&레저
연예
스포츠
건강
취미&레저
운세&풍수
포토&영상
포토
영상
다문화
미얀마
다문화광장
전체 기사
검색
로그인
회원가입
검색
마이페이지
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검색
초기화
전체메뉴
전체기사보기
삶과 생각
칼럼&인터뷰
언저리 뉴스
사이언스
건강&레저
포토&영상
다문화
인저리타임 소개
기사제보
광고문의
불편신고
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이메일무단수집거부
Home
전체 기사
전체
다음
이전
문학예술
김석이 시인의 「여백을 채우다」 흔적(9)
흔적김석이 돌 하나 주워와서 물에다 적셔본다 숨어있던 그림자가 전생을 드러낸다 갈증에 허기진 날들 그 무늬로 피는 꽃 또렷한 길의 흔적이 새겨져 있음을 물에 적시기 전까지는 몰랐다. 우연한 기회에 알게 되는 진실 앞에서 미안해하기도 실망하기도 한다. 하지만 갈증에 허기진 날들이 촉촉해졌으면 좋겠다. 이왕이면 그 삶의
김석이
2025.07.19 07:00
칼럼
【조송원 칼럼】시대 따라서 헤엄치기
책상유리판이 깨졌다. 지난 이십 수삼 년 몇 번의 이사에도 멀쩡하던 거였다. 양은 냄비가 화근이었다.며칠 전 볼일이 있어 20리 길을 자전거로 읍내에 들렀다. 일을 마치고 시장통을 지나다 그릇점의 양은 냄비가 눈에 들어왔다. 부엌에 있는 냄비가 무쇠붙이인지 뭔지 두텁고 무겁고 용적도 1인용으로는 너무 너르다. 라면이라도
조송원
2025.07.18 09:38
문학예술
조승래 시인이 읽어주는 좋은 시(99) 왼쪽의 반란은 정당한 것인가 - 지하선
왼쪽의 반란은 정당한 것인가 지 하 선 휘몰아쳐 오는 어둠 속에서 불안한 숨결이 중심을 잃고 바닥의 공격을 여러 번 받았다 왼손과 왼발과 바닥 사이에서 부서진 행성 주름진 고통을 걸치고 소외된 계층, 약자라 자처했다 깁스 세 번의 시련에 늘 악력이 새어나가는 왼손은 작은 물건을 집어 올리지 못하는 장애
조승래
2025.07.17 11:40
문학예술
김석이 시인의 「시조로 여는 세상」 (24) 버릇, 나이도 잊는 - 김정연
버릇, 나이도 잊는김정연 버스에 올라타는 초로의 느슨한 무릎 그랬듯 벌떡 일어나 자리를 양보한다 기찬 듯 내리훑는 눈찌 버릇없었나 이 버릇 우리는 종종 나이를 잊고 산다. 문득 내 나이를 인식했을 때, 스스로 깜짝 놀랄 때가 있다. 마음이 못 따라가는 신체 나이! 나만 인정 못 하는 내 나이! 시간은 늘 우리를 앞
김석이
2025.07.16 07:00
문학예술
대하소설 「신불산」(848) 제8부 고향에 찾아와도 - 제1장 뜻밖의 귀촌(13)
제1장 뜻밖의 귀촌(13)마침내 상량식 날이 닥쳐 성일씨가 축문을 읽고 인부를 비롯한 가족 20여 명이 하는데 현주씨는 물론 기연씨, 성일씨네 가족까지 참석해서 식사가 거의 끝난 뒤 기연씨와 유서방, 성일씨를 따로 소나무그늘로 불러내니 “아, 저는 뭐...” 유 서방이 주춤거리자 현주씨도 대신 따라왔다. “우리 집 건축허
인저리타임
2025.07.16 06:00
문학예술
【시(詩)가 있는 인저리타임】기적 - 이송희
기적이송희 복숭아 주스를 좋아하는 여자는 복숭아 알레르기가 있는 남자를 만난다 한옥의 디딤돌을 좋아하는 여자는 고층 아파트를 좋아하는 남자와 같은집에 산다 칼치조림을 좋아하는 여자는 스테이크를 좋아하는 남자와 매일 식사를 한다 여자는 남자와 오늘을 키운다 보이지 않는 우주의 시간 속에서
이송희
2025.07.15 07:00
경제
세계 1위 재생에너지 생산지 중국 샨시성 경제사절단, 부산서 한중 경제협력 재개 “시동”
재생에너지 세계1위로 꼽히는 ‘중국 샨시성(陝西省)’의 경제무역대표단(단장 판완춘․范万春 상무부청장)이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중국의 성급 정부 경제사절단 위상으로는 처음으로 지난 11일부터 4박5일간의 일정으로 한국을 방문, 한중 경제교류 협력 재개에 시동을 걸었다.판 성정부 상무청 부청장을 비롯하여 시안(西安), 시엔
조송현
2025.07.14 23:36
환경·생활·문화
“밀실행정, 문화사대주의, 환경파괴 ... 부산시는 퐁피두 분관 유치, 당장 철회하라!”
부산시가 일방적으로 밀실행정으로 추진하고 있는 퐁피두센터 부산분관 유치에 대해 시민단체가 지역정당과의 토론회를 갖는 등 반대의 목소리가 조직화되고 있다.퐁피두센터 부산분관 반대 지역정당과의 토론회가 지난 10일 오후 4시 부산시의회 중회의실에서 시민 문화계 인사 등 80여 명이 모인 가운데 열렸다. 이날 토론회는 퐁피두미
김해창
2025.07.14 12:32
사람 이야기
조해훈 시인의 고서로 풀어보는 사람 이야기(118) 조선 전기 나주 출신의 문사 백호 임제
여기가 바로 옛날의 월남 사이건만(此昔月南寺·차석월남사)/ 지금은 안개와 노을 속에 적막하기만 하네.(煙霞今寂寥·연하금적료)/ 산은 벌써 노을빛 비치는데(山曾暎金碧·산증영금벽)/ 물은 절로 아침 저녁 보낸다네.(水自送昏朝·수자송혼조)/ 옛 탑은 촌락의 담장 의지해 서 있고(古塔依村塢·고탑의촌오)/ 낡은 비석돌은 다리로 놓
조해훈
2025.07.14 07:00
문학예술
대하소설 「신불산」(847) 제8부 고향에 찾아와도 - 제1장 뜻밖의 귀촌(12)
제1장 뜻밖의 귀촌(12) 그러고서 한 이삼일 지나서였다. 명촌에 가봤자 대나무와 소나무를 베어내고 뿌리를 뽑아내는 일 밖에 열찬씨가 관여할 일도 크게 없을 것 같아 낮에는 주로 원동교 도시고속도로 다리 밑에서 바둑을 두는데 “이 선생이 우째 이틀 연속으로 나오시는데?” “우리는 다리 밑 바둑공원하고 인연을 끊은 줄 알
인저리타임
2025.07.13 17:41
칼럼
【조송원 칼럼】왕도와 AI시대
유클리드(Euclid, 기원전 4세기 중반~기원전 3세기 중반)는 이집트 왕 프톨레마이오스의 후원을 받았다. 프톨레마이오스(천동설을 주장한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와는 전혀 다른 인물)는 알렉산더 대왕의 친구이자 탁월한 장수였던 인물이다. 알렉산더가 죽자 뒤를 이어 이집트를 통치해 프톨레마이오스 왕조를 열었다.유클리드는
조송원
2025.07.13 09:30
문학예술
김석이 시인의 「여백을 채우다」 꽃무릇(8)
꽃무릇김석이 내가 깨어 있을 때 당신은 잠들었고 당신이 잠들었을 때 나는 깨어 있습니다 서로를 지켜 주면서 가는 길이 환합니다 비록 만나지는 못하지만 서로의 빈자리를 지켜주는 사랑이다. 애틋하고 슬프기만 할까. 잎은 잎으로 꽃은 또 꽃으로 그 자리를 지킨다. 지킨다는 것, 지켜준다는 것, 그 자체만으로도 감사한 일
김석이
2025.07.12 16:41
문학예술
대하소설 「신불산」(846) 제8부 고향에 찾아와도 - 제1장 뜻밖의 귀촌(11)
제1장 뜻밖의 귀촌(11)일주일 뒤 마침내 건축허가가 떨어졌다. 그리고 그의 동시에 산16-1번지에 대한 산림임상형질변경신청과 일대의 사도설정에 대한 도로사용허가도 떨어졌다. 정지작업까지 뗀 또식씨가 대형굴삭기와 인부를 동원해 일식씨가 장난처럼 찔끔찔끔 베어내던 대밭을 밀어붙이기 시작했다. 희한한 건 크고 쓸 만 한 대
인저리타임
2025.07.10 19:29
나의 삶 나의 생각
조해훈 시인의 지리산 산책(168) 목압서사 위 도재명차에서 차를 마시며
지난 7일 오후 4시 조금 넘어 필자의 집이자 서당인 목압서사(木鴨書舍) 위쪽의 도재명차(荼在名茶)로 갔다. 도재명차 김원영(金元映·58) 사장이 “차 한잔 마시러 오십시오.”라고 해서였다. 같은 마을에 사는 데다 필자가 차산(茶山)으로 올라가려면 김 사장의 집 뒤를 통해야 한다. 김 사장은 필자를 볼 때마다 “차 한잔
조해훈
2025.07.10 19:21
칼럼
"퐁피두센터 잘못 생각한 박형준 때문에 온 부산이 시끄러워졌다 !"
다시 내 고장 부산을 생각한다.내가 태어난 곳이 부산은 아니지만 어려서 낯선 도시로 이사를 온 후 학교 공부를 모두 부산에서 마치고 생활한 것이 어언 53년이나 된다. 그러기에 영혼과 육체가 성숙하게 된 곳은 부산이다. 누가 가르쳐주지도 않은 그림그리기를 해온 것도 53년째로 기억된다. 5형제 중 유독 나만 그림그리기를
허석
2025.07.10 07:00
문학예술
조승래 시인이 읽어주는 좋은 시(98) 팔공산 갓바위 부처님 - 윤동재
팔공산 갓바위 부처님 윤 동 재 팔공산 갓바위 부처님 오래 머물던 돌 속에서 나오셔서 어디 멀리 가셨습니다 돌덩이만 덩그렇게 서 있습니다 어지간히 속상하셨나 봅니다 사람들이 이 복 저 복 오만 복만 달라고 막무가내로 매달리는 것도 못마땅하
조승래
2025.07.10 07:00
환경·생활·문화
'돈먹는 하마' 퐁피두센터 유치 비밀리에 추진하는 이유 뭔가? ... 박형준 시장은 답하라!
부산시가 추진 중인 퐁피두센터 부산분관 유치 및 이기대 예술공원 조성 사업이 밀실행정, 일방통행식이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부산시는 박형준 부산시장 공약으로 2024년 9월 프랑스 파리에서 퐁피두 분관 건립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올해 연말까지 본계약 추진을 앞두고 있다. 그러나 시는 정작 지역 문화예술계와는 소통하지 않고 시
김해창
2025.07.09 09:34
문학예술
김석이 시인의 「시조로 여는 세상」 (23) 오동꽃 질 무렵 - 유헌
오동꽃 질 무렵유헌 오동꽃이 만장처럼 휘날리던 그해 봄날 세상을 쾅, 닫는 나무 망치소리에 허공이 쩍, 갈라졌다 아버지가 가셨다 꽃이 피면 언젠가는 지듯이 우리의 생도 그렇지 아니한가. 생이라는 꽃을 피우며 살고 있는 오늘이다. 꽃이 받들고 있던 허공의 무게는 꽃이 지는 순간, 일시에 쏟아진다. 세상이 무너지
김석이
2025.07.09 09:02
1
|
2
|
3
|
4
|
5
내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