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기철 교수의 '삶의 반음 미학' - (10)이제는 익숙해진 음악적 관습

박기철 승인 2021.02.06 01:22 | 최종 수정 2021.02.06 01:31 의견 0
관습에 따라 정해진 세계적 음악규약
관습에 따라 정해진 세계적 음악규약

7음계 안에서 도가 제일 처음에 있다. 피타고라스도 지금의 도에 해당하는 음으로부터 12음계를 창안했다. 그렇다면 도레미파솔라시는 ABCDEFG라고 해야 맞을 것같다. 그러면 헷갈릴 일도 없고 쉬울 것 같다. 그런데 왜 도레미파솔라시는 CDEFGAB가 되었을까? 왜 첫 번째 도가 A가 아니라 C가 되었을까? 대신에 왜 여섯 번째 라가 A가 되었을까?

여러 설들이 있다. ①피아노 건반에서 가장 낮은 건반의 라 음이라서 ②오케스트라 여러 악기들이 다 내기 쉬운 라 음이라 조율하기 좋아서 ③조표가 안 붙는 A 단음계(라시도레미파솔라)의 첫 번째 라 음이라서 ④국제표준 기준음으로 440kz의 라 음을 정해서 ⑤고대 그리스에서 음들의 체계를 잡을 때 가장 낮은 라 음이라서.

아무래도 시기적으로 가장 오래된 ⑤가 정답에 가깝겠다. 이후 음악적 관습(convention)과 세계적 규약(protocal)에 따라 라가 A로 정해진 것 같다. 그나마 다행이다. 만일 어떤 사정으로 인해 12음계 안의 어떤 반음이 A가 되었다면 더욱 혼란스러웠을 것이다. 그랬어도 어떤 표준이 정해진다면 인간은 또 거기에 맞출 것이다. 라가 A인 것에 아주 잘 맞추며 살고 있는 것처럼… 인간은 관습에 따른다.

<경성대 광고홍보학과 교수>

저작권자 ⓒ 인저리타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