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中國의 자수
실크 자수는 중국의 민속 전통예술 중 하나입니다.
실크의 사용이 지금으로부터 이미 5,000년이 되었습니다. 누에에서 나온 실크를 사용하면서 자수공예도 점차 흥행하게 시작하였습니다. 특히, 송나라부터 명·청대에 이르러 황금시대를 이루웠습니다.
청나라때는 궁궐에서 사용되는 자수 작품뿐만 아니라 민간에서도 지방을 딴 자수 종류들이 나왔습니다. 그 중에서 상수, 촉수, 소수, 월수는 ‘사대명수’라고 불리는 지방 자수의 대표가 되었고 그 중에서도 소수 자수가 가장 대표적입니다.
특히, 江蘇省 蘇州의 ‘소수’, 湖南省의 ‘후수’, 四川省의 ‘촉수’, 廣東省의 ‘오(월)수’ 각자 특색을 가지고 있습니다. 중국의 사대명수라 불리는 자수의 대표가 되었고, 그 중에서도 소수 자수가 가장 대표적입니다.
중국의 자수공예는 세밀하고 복잡합니다. 이불 겉감, 베갯입, 병풍 등 외에 고급 자수작품은 하나의 고급문화예술이라고 불려 집니다. 실용성을 갖출 뿐만 아니라 관상 가치와 높은 예술적 가치를 갖춥니다.
“蘇州 자수”는 쑤조우 우현 일대에서 탄생하였고, 명나라 고수(지방 이름)에서 특히 발전되어 나왔습니다. 주(周)나라 말기 춘추시대 우월 지방에 사는 사람들은 단발문신의 풍습을 가지고 있었는데 중옹(사마천의 사기 사서에서 춘추시대 오나라의 제2대 군주)의 가르침 아래 문신의 풍습은 몸에 직접 문신하는 전통에서 옷에 자수를 놓는 형식으로 바뀌고 자수 공예는 이렇게 탄생되었습니다.
동식물과 자연 경치가 자수의 주요 소재입니다. 과장한다면 자수 작품이 세밀하여 실물과 차이를 느낄 수 없을 정도로 검쪽 같아서 진짜와 구별하기가 어려울 정도로 고아하고 아릅답습니다. 색채가 고아하고 구상이 기발합니다. 중국의 국가무형문화유산 중 하나입니다.
“湖南 자수”는 호남성 상수를 중심으로 발달하였으며, 작품 소재는 산수, 화조, 깃털, 짐승, 풍경, 초상화, 길짐승에 뛰어납니다. 특히, 호랑이와 고양이 작품으로 유명합니다. 작품은 소박하고 생동감이 넘치며 입체감이 뛰어납니다.
“四川 자수” (촉수, 蜀繡) : 촉수는 사천 성도에 집중되어 있으며, 진나라때 "촉중보물" 로 불리웠다. 촉수는 100여종 자수법을 사용해 자수의 장점을 충분히 발휘했으며 농후한 지방풍격을 형성했다. 촉수소재는 보통 화조, 짐승, 산수, 벌레, 인물 등을 주로 하며 감상용 병풍에 쓰이는 외 베갯잇, 손수건, 식탁보 등 위에도 수놓을 수 있다. 공법이 치밀하고 세밀합니다. 작품은 생동활발하고 온갖 자태를 드러냅니다. 작품에 담긴 의미도 상사롭고 부귀영화 이어서 인간 행복을 추구하는 공통점에 부합합니다.
“廣東 자수”는 당나라에 기원했으며, 오수의 작품 주재가 다양합니다. 특히, 양귀비에게 헌납하는 공물로서 발전하면서 절묘한 예술로 승화되었습니다. 전통적인 기법 외에 공작의 털로 꽃을 자수하여 색채가 농염하고 하려합니다. 빛과 그림자의 변화에 신경을 많이 씁니다.
2. 중국의 “제자백가” 사상
중국의 고전 사상 문화는 유가, 도가, 법가, 묵가로 구성됩니다. 오늘날 사람에게도 깊은 영향을 줍니다. 그 중에서 필자가 가장 좋아하는 노자의 《道德經》에 논술하는 “無爲”입니다.
無爲는 유위(有爲), 무위(無爲)=비위(非爲)의 반대이며 인간의 인식 오류에 의해 제정되고 실천되는 모든 행위를 반대되는 개념이다. 노자는 도를 따르고 지키는 것을 덕이라 하였다. 따라서 덕은 도처럼 '무의(無意)' ‘비위(非爲)’여야 하며, 결코 ‘아무것도 하지 않음'은 아니다. 또한, 그가 말하는 자연이란 물리세계의 자연이나 서양 철학의 자연주의가 아닙니다.
자연은 바로 자유자재(自由自在)하고, 스스로 그러하고[自己如此(자기여차)], 무엇에도 의존하지 않는 무작위(무의도) 정신활동이며, 사물의 실상과 합일로써 얻어지는 인간의 인식의 무작위성이다. 즉 무리하게 생각·행동 등으로 인위적인무엇을 하려 하지 않고, 자연스럽지만 스스로 그러한 대로 사는 행위들이 무위자연이라고 생각합니다.
노자가 "學文을 하면 날로 보태는 것이고, 道를 함은 날로 덜어 내는 것이다.”라고 말하였으며, 떨쳐버리고 또 떨쳐버리서 위가 없음[無爲(무위)]에 이르면 위(의도)가 없으면서도 하지 못하는 것이 없다[爲學日益 爲道日損(위학일익 위도일손), 損之又損(손지우손), 以至於無爲(이지어무위), 無爲而無不爲(무위이무불위)]. 무위를 하면 다스려지지 않음이 없다[爲無爲 則無不治(위무위 칙무불치)]."고 하였다. 이와 같이 무위는 혼란해진 자기 자신을 정화함으로써 본래의 자연스러움을 회복하려는 방법이며, 동시에 세상을 다스리는 법입니다.
무위자연이란 인간과 더불어 세상 만물을 자연의 일부로 파악하고, 인간이 자연에 순응하여야 한다는 것을 그 원리로 하고 있다.
외부세계에 의지하지 않는 절대적인 자유 과거의 성현들이 주장하는 것들을 반대하고, 절대적인 정신의 자유를 추구합니다.
‘천인합일’, ‘무위자연’등 진리를 추구하는 낭만적 색채를 지니는 사상이라서 오늘날, 유럽·미국·한국 등 세계 각국 미래의 문화 정신계에 깊은 영향을 줍니다.
3. 唐詩, 宋詩, 元曲(원나라 詩이자 노래)
당·송·원곡 詩/歌詞 문화는 중국 문화 예술에서 없어서 않되는 귀중한 문화유산입니다. 그 중에 唐詩의 형식은 다양하고 작가가 매우 다양하고 많습니다. 문체가 우아하고 뛰어나게 아름다우며 기세가 당당하고 상상력이 풍부하고 자유 분방한 기질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중국의 시들 중 唐詩를 능가하는 詩가 나타나지 않고 있을 정도입니다.
春夜喜雨(춘야희우) / 杜 甫(두보)
好雨知時節(호우지시절) 當春乃發生(당춘내발생)
隨風潛入夜(수풍잠입야) 潤物細無聲(윤물세무성)
野徑雲俱黑(야경운구흑) 江船火燭明(강선화촉명)
曉看紅濕處(효간홍습처) 花重錦官城(화중금관성)
좋은 비는 시절을 알아 봄이 되어 내리네.
바람 따라 몰래 밤에 들어와 소리 없이 촉촉이 만물을 적시네.
들길은 구름이 낮게 깔려 어둡고 강 위에 뜬 배는 불빛만 비치네.
새벽에 붉게 젖은 곳을 보니 금관성에 꽃들이 활짝 피었네.
송시는 남녀의 감정에 더 편중되었습니다. 문장구조는 치밀하고 율동미와 완곡미를 갖춥니다. 그 당시 생활 분위기가 강하고 노래로 만들기에도 좋습니다.
원곡은 민간성, 광범성, 대중성을 지니고 있는 예술입니다. 민간문화예술이라 불립니다. 사회모순과 민족모순을 반영하는 작품이 많습니다. 인문형상은 복잡하고 다양합니다. 당시와 송사 후에 주목을 많이 받는 예술형식이라서 독보적인 매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세계 각 나라들의 문화예술의 높고 낮음, 좋고 나쁨이 없으며, 그 지역의 날씨·종교·생활방식·음식 등 다양한 원인 등 구성 요소로 인해 그 문화가 다름이 있을 뿐 문화가 우수하고 저열하게 평가 되어지면 문화의 다양성을 부정하는 행위 일 것이고, 세계화 지구화에 악영향을 주므로 문화의 다양성을 인정하는 마음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참고문헌: 네이버 지식백과 무위 [無爲] (Basic 고교생을 위한 윤리 용어사전, 2001. 12. 20.,강동효) 등
<유학생(글로벌한국학 전공) / 중국>
저작권자 ⓒ 인저리타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