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기철 교수의 '삶의 반음 미학' - (29) 코드 펑션에 따른 코드의 진행
박기철
승인
2021.02.27 17:28 | 최종 수정 2021.02.27 17:32
의견
0
화성학 학생들에게 바이블과 같은 책이 있다. 마쯔다 마사(松田昌)가 쓰고 故길옥윤이 번역한 『경음학 편곡법』이다. 똑같은 제목과 똑같은 표지의 다른 책이 있을 정도로 유명하다. 최근 『재즈화성의 기초지식』으로 번역되어 나왔다. 이 책에 7개 다이아토닉 코드들인 ⅠM7, Ⅱm7, Ⅲm7, ⅣM7, Ⅴ7, Ⅵm7, Ⅶm7(♭5)이 각각 으뜸화음(Tonic), 딸림화음(Dominant), 버금딸림화음(Sub-Dominant)인 세 가지 코드 펑션 중 어디에 속하며 어떻게 왔다갔다 하는지를 나타내는 그림이 있다. 7개 다이아토닉 코드가 아닌 논(Non)다이아토닉 코드들도 이리저리 반음들을 오묘하며 희한하게 굴려서 나왔더래도 무조음악이 아니라 조성음악이라면 결국 저 그림 속 흐름에서 하나도 벗어나지 않는다.
결국 화성학의 요체는 이 그림 하나에 담겨있다. 으뜸인 집과 딸림인 일터와 버금딸림은 놀이터을 왔다갔다 하는 우리 삶도 이 그림과 큰 맥락에서 비슷한 점이 아주 많을 줄로 안다. 그렇게 인생과 음악은 비슷하다.
<경성대 광고홍보학과 교수>
저작권자 ⓒ 인저리타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