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老)시인 이득수의 「70년간의 고독」 - 「코로나19 시대」의 추석을 탄식하다

에세이 제1108호(2020.9.28)

이득수 승인 2020.09.26 14:04 | 최종 수정 2020.09.28 00:53 의견 0
10명 가족 전원이 모인 사진
10명 가족 전원이 모인 사진

70평생에 이렇게 삭막한 추석을 처음 맞습니다. 코로나19가 세계를 꽁꽁 얼려 한국의 골목시장과 비닐하우스 하나하나에 실망과 근심이 가득한 가을도 모자라 유달리 장마가 길고 3개나 되는 태풍(颱風)이 한반도를 덮쳐 올해는 과일 한 가지 제대로 익어 사진이 곱게 나오는 것이 없으니 작금의 민심을 보는 것만 같습니다.

하루하루를 보너스처럼 받아 연명하는 마초할배가 처음 아들이 인도로 떠난다고 할 때

“무슨 일이 있어도 사내의 장도(壯途)를 막으면 아니 될 일, 설령 이 아비를 다시 보지 못해도 그게 인간사의 기본원리이니 아무 생각 말고 다녀오게.”

하고 대범하게 보냈는데 전 세계는 번진 코로나19가 조만간 아들이 근무하는 인도가 금방 코로나 확진자 수 1위가 될 것 같은 긴급 상황입니다. 그래도 부강한 모국의 경제력에 힘입어 전용기를 타고 아이어미와 손녀들이 미리 앞당겨 한국에 도착하고 보니 이제 하나 남은 아들의 걱정이 태산입니다. 그러나 한창 일할 나이의 사내가 세계적 위기 앞에서 함부로 그 처신을 가볍게 할 수도 없는 법, 결국 어디선가 백신이 개발되어 세계인 모두 예방접종을 하고 코로나19의 소멸을 선언할 날만 기다려야 할 것 같습니다.

이렇게 어려울 때 서로 오가지 않는 것이 최선이라 서울의 며느리에게 굳이 명촌리에 오지 말라고 아내가 전화를 하자 이미 추석 이튿날에 서울에서 언양으로 오는 STR표를 끊었다 하니 자부와 두 손녀를 만나는 일은 반갑지만 그 아이들까지 왔다가면 인도의 아들이 더 한층 보고 싶어질 것 같아 걱정입니다.

지난해 추석 두 손녀와 함께

시골할배답게 이 삭막한 추석기념 한시 한 수를 올립니다. 한자로 달리 번역할 방법이 없는 코로나19는 <고난19>로 마스크는 <막구>로 설총의 이두를 흉내 내었으니 두루 이해 바랍니다.

  村老歎息 苦難19
  -시골노인이 코로나를 탄식하다-
 
  苦難19 襲一瞬   고난19 습일순
  閭巷絶滅 親而近 여항절멸 친이근
  獨子印度 孫女京 독자인도 손여경
  1家3處 仰秋月   일가삼처 앙추월

  코로나19가 한순간에 엄습하자
  마을엔 친구, 이웃 일시에 절멸하고
  외아들은 인도에서 손녀들은 서울에서
  한 가족이 세 곳에서 보름달을 보는구나.

  老妻子女 胥婦兮, 노처자녀 서부혜
  嘉禾羽化 映,炫敍 가화우화 영,현서
  有始有終 萬事滅  유시유종 만사멸
  當面苦難 忍又忍  당면고난 인우인
   
  아들딸과 내 아내여
  가화우화 영서현서,
  시작은 끝이 있듯 만사는 소멸되니
  당면한 어려움쯤 참고 또 참아내자.

  一時鬱寂 心事撫  일시울적 심사무 
  莫口衛生 持徹底  개인위생 일우일
  膝下悉集 皆和樂  슬하실집 개화락
  明日期待 今日笑  명일기대 금일소 

 무단히 울적한 맘 고요히 달래면서
 마스크와 개인위생 매일매일 잘 지켜서
 슬하에 10가족 한자리에 모여 노는
 좋은 날 기대하며 오늘 미리 웃어보세

모든 과일이 다 부실한 올해 추석
모든 과일이 다 부실한 올해 추석

 <해설>

1. 이 한시의 형식은 7언의 율(律)이 셋이나 되어 장편율시로 보아야 할 것임.
2. 고난(苦難)19 : 코로나19와 의미와 맞고 한시의 율에 맞게 지은 이름임
3. 일가삼처 : 필자가 거주하는 명촌리와 아들이 있는 인도에 아이들의 외가가 있는 서울
4. 嘉禾羽化 映,炫敍 가화우화 영,현서 : 서울손녀 가화, 우화와 부산손녀 영서와 현서
5. 莫口衛生(막구위생) : 마스크쓰기와 개인위생
6. 膝下悉集(슬하실집) : 슬하의 자손들이 모두 모이다.

<시인·소설가>

저작권자 ⓒ 인저리타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