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老)시인 이득수의 「70년간의 고독」 - 명촌별서의 겨울맞이
에세이 제1165호(2020.11.25)
이득수
승인
2020.11.24 22:23 | 최종 수정 2020.11.24 22:33
의견
0
한 며칠 날씨가 갑자기 추워져 자면서도 자주 이불을 당겨 덮거나 보일러를 올리곤 했지만 내외 둘다 감기기운이 있어 읍내의 동내병원에서 주사도 맞고 약도 타고 돌아오는 길에 상북면사무소앞의 <짬뽕의 달인>에 들러 아내가 좋아하는 탕수육 소(小)자를 시켜주고 저는 해물짬뽕을 먹었습니다.
돌아오는 길 등말리에 접어들어 논길을 달려 골티골짝을 들어서는데 갑자기 눈앞이 폭격을 맞은 듯 난장판이 되었습니다. 명촌별서가 경치가 좋기는 하지만 고래뜰의 맨 꼭대기라 더이상 전진을 못 하는 강풍이 회오리바람이 되어 온 골짝을 헤집어버린 것입니다.
가장 심각한 것은 펜스에 부착한 <제2회 조손시화전>의 시화가 반 이상 바람에 뜯겨나가 온전한 게 별로 없었습니다. 그 동안 한 두 곳이 떨어져 나부끼면 플라스틱 <쫄쫄이>로 보수를 했는데 이제 대부분이 다 파손되어 차라리 전체를 포기하기로 했습니다.
아내의 감기가 잘 낫지 않아 이튿날 저 혼자 가쁜 숨을 헐떡이며 시화를 철거하는데 세 명의 꼬마손녀들의 호기심과 꿈이 가득한 시화들이 세월이라는 이름의 비바람에 퇴색되어 호호백발할머니처럼 물러나는 게 많이 서글펐습니다.
그렇게 가을이 간다고 해서 꼭 아쉽고 슬픈 것만은 아닙니다. 며칠 전 된서리가 온 후에 김장무와 배추에 맛이 들어 싱싱한 배추와 무청을 쌈장에 싸서 먹으면 식욕이 없는 저도 금방 밥 한 그릇을 비웁니다. 단순한 식욕이 아닌 유년의 향수, 등이 굽은 어머니가 차려주던 밥상과 아버지의 기침소리가 되살아나면서 내가 자라던 시절의 그 막막한 가난과 된장냄새가 되살아난 것입니다. 요즘 소위 <먹방>이 방송을 주류를 이루지만 음식 잘 만드는 백종원이나 잘 먹는 이영자나 김민경도 처리맞은 무청의 이 깊고도 그윽하며 달콤한 향과 맛을 아는지, 한 번 먹어나 봤는지 가을 볕 포근한 문지방에 걸터앉아 서리맞은 무배추와 따뜻한 햇쌀밥의 진미를 연출하면 갑자기 인기가 폭증하여 무배추 값이 배로 상승하는 상상을 해봅니다.
아직 명촌별서에 푸른빛을 발하는 김장무와 배추, 청갓과 새래기 무를 뽑고 나면 텅빈 텃밭에는 할아버지와 손녀 넷의 하수아비들만 덩그렇게 남을 것입니다. 아쉬운 생각에 사진을 찍는데 흉작을 대변하듯 단 두개만 달린 대봉감열매가 애처럽습니다.
유래 없는 거대한 불안 코로나19로 우리 가족은 멀리 떨어지고 돌아온 손녀들과 며느리도 자가격리로 많은 고통을 받은 참으로 힘든 한해가 이렇게 가고 있습니다. 곧 일곱 살이 되는 마초는 이제 중년을 넘어서 따뜻한 데크에 종일 누워 지내며 산책도 같은 길을 두 번 이상 돌면 제 눈치를 슬슬 보며 농땡이를 칩니다. 저 철없는 짐승에게도 벌써 생리적 가을이 오는 것입니다.
내년 한 해, 무엇보다도 제가 살아있는 것이 명촌별서의 가장 큰 과제이겠지만 인도에 간 아들과 가족들의 돌아와 제 슬하 10명 가족이 한 자리에 모이는 꿈을 꾸어봅니다. 그렇게만 되면 이번에는 10인가족 전원이 참석하는 <제3회 가족시화전>도 열고 허수아비도 새로 만들되 곧 10대가 되는 세 손녀 대신 우리 두 노부부의 모습을 밀레의 <만종(晩鐘)> 분위기로 해 볼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한 보름이 지나 일곱 가족의 김장을 하고 나면 이제 명촌별서는 긴 겨울잠에 빠질 것입니다. 그러나 언제라도 한두 명의 정든 얼굴들이 방문하는 것은 절대로 사양하지 않고 제가 직접 골안못에서 잡은 생새우를 갈아 넣은 시원하고 감칠맛 나는 명촌별서의 김장맛을 보여드릴 것입니다.
<시인·소설가>
저작권자 ⓒ 인저리타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