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성욱 원장의 체질의학 (4)성명론(性命論)

허성욱 승인 2020.03.04 12:21 | 최종 수정 2020.03.04 15:55 의견 0

「성명론(性命論)」은 인간 존재(存在)의 본질(本質)을 설명하기 위함이며 인간은 어떠한 존재(存在)이며 어디로부터 왔는가?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가? 에 대해서 말하고 있다. 즉 인간의 형이상학적인 구조를 바탕으로 하여 인간 본질과 생명현상을 설명하고 있다.

성(性)은 인간의 본래성(本來性)을 말하며, 명(命)은 본래성을 바탕으로 하여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 역사적 사명을 「성명론(性命論)」으로 표현하였다. 인간은 육체적 존재이기 이전에 정신적·인격적 존재이다. 인간의 본질은 정신적인데 있으며 이러한 인간의 정신은 그 뿌리를 하늘(天機)에 두고 있다. 하늘의 천도(天道)와 땅의 지덕(地德)에 그 뿌리를 두고 있음을 주장하였다.

사상의학의 가장 큰 공적은 인간의 본질을 천도, 지덕을 바탕으로 한 인격성 즉 도덕성에 두었으며 이를 생리적인 장부(臟腑)와 연결하여 설명했다는 것이다. 성(性)은 인의예지 사덕(四德)으로 구성되며, 명(命)은 희노애락 사정(四情)으로 표현된다. 즉 성(性)을 본체(本體)로 하여 명(命)으로 드러나며 행(行)해진다. 희노애락은 생기(生氣)를 주관하여 운용하는 주체이므로 희노애락이 조화하지 못하면 폐비간신의 음양기(陰陽氣)에 과부족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질병 발생의 원인이 된다고 하였다.

「성명론(性命論)」에서 이제마 선생은 인간의 본성(本性)은 천기(天機)에 있으며 이를 지방(地方--땅의 방위), 인륜(人倫--인간의 윤리), 세회(世會--세대의 모임), 천시(天時--하늘의 시간)의 4가지로 규정하고, 이를 근거로 인간이 행해 나가야 하는 인사(人事)를 거처(居處--거주하며 사는 것 ), 당여(黨與--사람들과 무리를 이룸), 교우(交遇--사귀면서 만나는 것), 사무(事務--직무에 힘쓰는 것)로 규정하고 있다.

인체의 두면인 상부(上部)는 천기(天機)를 받아들이며 인간 속에 내재한 하늘인 귀와 눈과 코와 입(耳目鼻口)이며, 이를 통해 하늘의 본성을 받아들일 수 있으며, 인체의 몸체인 하부(下部)는 장부(臟腑)인 폐비간신(肺脾肝腎)이며,

폐는 사무(事務)를 능히 닦아 통달할 수 있으며,
비는 교우(交遇)를 능히 완성시켜 화합할 수 있으며,
간은 당여(黨與)를 가지런히 하여 능히 올바로 세울 수 있으며,
신은 거처(居處)를 다스려 정착하게 할 수 있다고 하여,
이는 귀와 눈과 코와 입(耳目鼻口)이 형이상학적인 천기(天機)를 듣고 보고 냄새 맡고 맛(聽視臭味)보며
폐비간신(肺脾肝腎)의 인사(人事)로 내재화(內在化)함을 전제(前提)로 하고 있다.

인체의 앞부분인 턱, 가슴, 배꼽, 배에는 본체로서의 지예의인(知禮義仁)의 본성이 내재되는데,

턱(頷)에는 지성(知性)으로서의 주책(籌策--하늘의 뜻을 책수(策數)원리로 계산)이 있지만 교만(驕心)하면 안 되고,
가슴(臆)에는 경륜(經綸--예(禮)를 바탕으로 문물제도와 역사(歷史)원리를 깨닫는 것)이 있지만 스스로 자랑(矜心)하면 안 되고,
배꼽(臍)에는 행검(行檢-의(義)로움에 바탕하여 만물을 다스리는 원리)이 있지만 제멋대로 함부로(伐心)하면 안 되고,
배(腹)에는 도량(度量-인(仁)에 근거하여 땅의 이치를 헤아리고 포용할 수 있는 능력)이 있지만 과장(夸心)되게 하는 것이 불가하다고 하였다.

인체의 뒤 부분에는 사명으로 행해 나가야하는 마음이 내재되는데,

머리에는 학식과 견문이 있어야 하는데 빼앗음이 없어야하고,
어깨에는 위엄 있는 태도가 있어야 하는데 거만함이 없어야 하며,
허리에는 기둥 같은 자질이 있어야 하는데 게으름이 없어야하고,
둔부에는 사방을 다스리는 능력이 있어야 하는데 훔침이 없어야한다고 하였다.

즉 인체의 앞부분인 턱, 가슴, 배꼽, 배은 하늘로부터 만인에게 주어진 주책(籌策), 경륜(經綸), 행검(行檢), 도량(度量)이 보편적인 본래성(本來性)으로 주어져 있지만, 교만하고, 뻐기고, 함부로하고, 과장된 마음의 간사한 마음이 동시에 주어져 있으며, 인체의 뒤 부분인 머리, 어깨, 허리, 엉덩이에는 인체 앞부분의 본래성 즉 주책(籌策), 경륜(經綸), 행검(行檢), 도량(度量)을 바탕으로 학식과 견문(識見), 위엄있는 태도(威儀), 기둥같은 자질(材幹), 사방을 다스리는 능력(方略)을 이루어 나가야하는 사명이 있으며, 여기에는 반드시 없어야하는 빼앗고 거만하고 게으르고 훔치는 위태로운 마음이 동시에 있게 된다.

이는 인간은 상(上)·하(下)·전(前)·후(後)의 사상적(四象的) 존재이며, 천(天)·인(人)·성(性)·명(命)의 형이상학적 존재구조임을 밝힌 것이다.

천(天)·인(人)은 자연으로 선(善)하지만, 성(性)·명(命)은 욕심에 가려질 수 있는 것으로, 인간의 마음에는 선악의 마음이 동시에 존재하며, 본성을 보존하여 선을 행하면 본성이 잘 구현되어 건강하고 올바른 인간상을 이루어 나갈 수 있지만, 악(惡)을 추구하면 질병을 앓게 되며 수명을 온전히 보존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즉, 하늘에서 인간에게 주어진 인도(人道)의 사상(四象)인 인의예지를 바탕으로 머리과 얼굴에는 하늘의 입장인 이목비구가 인체에 내재되어 사상(四象)이 주어져 있으며, 사람의 몸체에는 인간의 입장에서 정신작용과 생리현상이 이루어지는 폐비간신의 장부(臟腑)가 사상(四象)으로 주어져 있으며, 인체의 앞부분에는 성(性)이 내재되는 턱, 가슴, 배꼽, 배가 사상(四象)으로 주어져있으며, 인체의 뒷부분에는 명(命)을 행하는 머리, 어깨, 허리, 엉덩이가 사상(四象)으로 주어져 있다.

이는 턱, 가슴, 배꼽, 배에는 하늘로부터 만인에게 주어진 주책(籌策), 경륜(經綸), 행검(行檢), 도량(度量)인 성(性)을 본체로 하여, 머리, 어깨, 허리, 엉덩이에 있는 학식과 견문, 위엄 있는 태도, 기둥 같은 자질, 사방을 다스리는 능력으로 행해 나가야 하는 명(命)으로 이루어 나가야 함을 말하고 있다.

사람의 이목비구는 선(善)을 좋아하는 것이 뛰어나고, 사람의 폐비간신은 악(惡)을 미워하는 것이 뛰어나고, 사람의 턱, 가슴, 배꼽, 배(頷臆臍腹)는 간사한 마음이 뛰어나고, 사람의 머리, 어깨, 허리, 엉덩이(頭肩腰臀)는 위태로운 마음이 뛰어나다고 하여 이목비구와 폐비간신은 사람들이 모두 요순(堯舜)이 될 수 있는 선함이 있지만, 턱, 가슴, 배꼽, 배와 머리, 어깨, 허리, 엉덩이는 사람들이 진리를 깨닫고 닦아나가야 하므로 모두 요순(堯舜)이 될 수 없다고 하였다.

이는 이목비구는 선을 좋아하고, 폐비간신은 악을 미워하지만, 사람의 턱, 가슴, 배꼽, 배 속에는 세상을 속이려는 마음이 숨겨져 있어, 선한 마음을 보존하고 본성을 기른 연후에 사람들이 모두 요순의 지(知)와 같이 될 수 있고, 머리, 어깨, 허리, 엉덩이의 아래는 백성을 속이려는 마음이 어둡게 감추어져 있으므로 몸과 마음을 닦고 그 사명을 굳건히 세운 연후에 요순의 행(行)과 같이 될 수 있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지행(知行)을 통하여 본성을 보존하고 길러나가서 수신(修身)을 통해 명(命)으로 실행해 가야 함을 강조하고, 깨달아 알고서도 행하지 않음을 경계하고 있다. 사람의 이목비구는 하늘에서 깨달아진 것이므로 모두 슬기롭고 지혜로우며, 사람의 턱, 가슴, 배꼽, 배는 널리 두루 통하는 본성(本性)이며, 사람의 폐비간신은 사람에서 세워진 것이므로 사람이 모두 어질고, 사람의 머리, 어깨, 허리, 엉덩이는 개개인이 세워가야 하는 사명이므로 사람이 모두 못나고 어리석다고 하였다.

따라서 총명한 깨달음(慧覺)을 닦아 덕(德)을 길러 인의예지와 충효우제(忠孝友悌)로 구성된 모든 선(善)인 본성을 알아 자업(資業--재물로 이루는 생계)으로 도덕을 행하는 것을 사명으로 해야 한다고 하였다.

혜각은 타인(他人)과 같이 배우고 깨닫는 것이요,
자업은 자신이 청렴(淸廉)하며 공(功)이 있는 것이니

허성욱
허성욱 원장

이로써 타인의 선(善)을 좋아하고 나 역시 선을 깨닫는 것이 지극한 성품의 덕성(至性之德)이고, 타인의 악(惡)을 미워하고 나 스스로도 악을 반드시 행하지 않는 것이 정명의 도리(正命之道)이므로 도덕이나 성명(性命)은 공부하고 깨달아서 행하는(知行) 것이라고 하였다.

이는 「성명론」의 목적은 인간존재의 본질을 자각하고, 사명을 깨달아 행하며, 하늘로부터 타고난 애노희락의 성정(性情)으로 인해 인간의 체질이 나누어지며, 성정(性情)의 불균형이 질병발생의 근본원인이 되며, 이러한 성정의 조화가 치료에 우선한다는 사실을 주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본성을 알고 성정의 부조화가 질병의 근본원인임을 깨달아 개개인에게 주어진 사명을 행해 나가는 것이며, 성명의 내용이 지성지덕(至誠之德)과 정명지도(正命之道)인 도덕성(道德性)을 완성해 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정신적으로 육체적으로 건강해 질 수 있으며 수세보원(壽世保元) 할 수 있다는 것이다.

<허성욱 한의원장·경희대 한의학 박사>

저작권자 ⓒ 인저리타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