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백년(五百年) 도읍지(都邑地)를 필마(匹馬)로 돌아드니,
산천(山川)은 의구(依舊)하되 인걸(人傑)은 간듸 없네.
어즈버 태평연월(太平烟月)이 꿈이런가 하노라.
고려 말의 유학자인 야은(冶隱) 길재(吉再·1353~1419)의 평시조 「회고가(懷古歌)」이다. 그는 조선시대가 개막했지만 고려의 신하를 고집했다. 그리하여 고려의 수도였던 개성을 돌아보며, 자연은 변한 것은 없는데 고려가 망해 없어진 것을 안타까워하며 지은 회고시 형식으로, 고시조집 『병와가곡집』과 『진본청구영언』에 실려 있다.
본관이 해평(海平)인 길재는 고려 공민왕 2년에 태어나 조선 세종 1년에 세상을 뜬 경북 구미 출신의 문신이자 학자이다.
아버지는 지금주사(知錦州事) 길원진(吉元進)이며, 어머니는 판도판서(版圖判書)에 추증된 김희적(金希迪)의 딸이다. 알다시피 고려 말 삼은(三隱)의 한 사람인 그는 11살 때 구미 도리사에서 글을 배웠으며, 18살 때 상산사록 박분의 문하에서 『논어』·『맹자』 등을 읽고 성리학 공부를 했다. 이후 개경으로 가 이색·정몽주·권근 등의 문하에서 보다 깊은 학문을 접했다.
1374년(공민왕 23)에 국자감에 들어가 생원시에 합격하였으며, 1383년(우왕 9)에는 사마감시에 합격하였다. 1386년 진사시에 급제하여 청주목사록에 임명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이 무렵 이방원과 같은 마을에 살면서 공부에 힘써 두 사람의 친교가 두터웠다. 1387년에 성균학정이 되었으며, 이듬해 순유박사를 거쳐 성균박사로 승진하였다.
공직에 있을 때에는 태학의 생도들이, 집에서는 양반 자제들이 모여 들어 배우기를 청하였다. 1389년(창왕 1)에 문하주서가 되었다. 하지만 고려가 장차 망할 징조를 알고는 1390년 봄에 노모를 모셔야 한다는 핑계로 벼슬을 버리고 고향인 선산으로 돌아갔다. 1391년(공양왕 3)에 계림부와 안변 등의 교수로 임명되었으나 모두 부임하지 않고, 노모를 봉양하였다.
1400년(정종 2) 가을에 길재의 성품과 능력을 잘 아는 이방원이 그를 태상박사에 임명하였다. 이방원이 자신을 반드시 기용하려는 뜻을 알고 있는 길재는 아주 완곡하게 글을 써 올렸다. 자신의 고려의 신하로서 두 왕조를 섬길 수 없음을 조심스레 설명했다. 마침내 왕은 길재의 절의를 이해하고 갸륵하게 여겼다. 그리곤 길재 집안의 세금과 부역을 면제해 주었다. 이후 길재는 세상을 떠날 때까지 고향인 선산에 은거하면서 후학을 양성하였다.
위에서 봤듯이 길재는 새로운 왕조인 조선의 부름을 거듭 받았지만, 끝내는 거부했다. 그건 선비로서 당연히 가져야 할 정신적인 문제였다. 그래서 훗날 사람들은 그의 충절은 특정한 정권이나 인물에 대한 은혜 갚음이 아니라 올바름을 지키려는 저항정신의 발로였다는 평을 하고 있다.
저무는 고려를 지켜보던 길재는 36세 때 “뜻 많은 수양산의 백이·숙제라네”라고 읊으며 절의를 다짐했다. 그 다짐대로 38세 때 벼슬을 버리고 귀향한 것이다.
어느 시대나 대개의 사람들은 출세와 권력에 자신의 자존심을 버리기도 한다. 하지만 길재는 올바람을 지키기 위해 절대 권력에 올곧게 저항한 선비였다. 후세사람들이 그를 본받아야ㅑ 할 점이 바로 출세와 특권의 유혹을 뿌리친 참된 지식인으로 마지막까지 살았다는 것이다.
그는 고향에서 오로지 도학을 밝히고 이단을 물리치는 것으로 일을 삼으며 후학의 교육에만 힘썼다. 『소학(小學)』을 앞세우며 실천을 중시하는 학문 자세는 김숙자(1389~1456)와 그 아들 김종직, 그리고 김굉필·정여창·조광조로 학통이 이어지면서 16세기 사림의 일반적인 정서로 자리잡게 되었다.
문집으로 『야은집』·『야은속집』 있으며, 1573년(선조 6)에는 5세손 길회가 흩어져 있는 시문과 역대 제현들의 찬영(讚詠)을 모아 3권 1책의 목판본으로 『야은선생언행록』을 간행하였다.
길재 사후 350년이 지난 1768년(영조 44)에 그를 추모하기 위해 구미 금오산에 정자 채미정을 세웠다. 알다시피 ‘채미’ 라는 이름은 길재가 고려 왕조에 절의를 지킨 점을 중국의 충신 백이·숙제가 고사리를 캐 먹던 고사에 비유한 것이다.
그의 생가 터는 경북 구미시 고아읍 봉한리 522에 있다. 접성산 아래 죽림사 위쪽이다. 이곳에 유허비가 있고, 바위에 그의 시 「述志(술지)」가 새겨져 있다. 그의 문집에 수록된 이 시를 한 번 보자.
개울 옆 띠풀집에 한가하게 혼자 있는데(臨溪茅屋獨閑居·임계모옥독한거)/ 밝은 달과 맑은 바람은 흥취 더욱 넘치는구나.(月白風淸興有餘·월백풍청흥유여)/ 하루 종일 찾아오는 손님이 없이 산새와 벗을 하면서(外客不來山鳥語·외객부래산조어)/ 대밭으로 평상을 옮겨 편하게 누워 책을 본다네.(移床竹塢臥看書·이상죽오와간서)
벼슬과 욕심을 버리고 고향에서 자족하는 길재의 모습이 잘 드러나는 작품이다.
<역사·고전인문학자, 본지 편집위원 massjo@injurytime.kr>
저작권자 ⓒ 인저리타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