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창 교수의 생태 이야기 (1) 하나뿐인 지구 - 새해 소망 '국태민안, 지구평화!'

김 해창 승인 2022.01.01 21:40 | 최종 수정 2022.01.03 10:47 의견 0
[픽사베이]

‘우주의 크기를 1광년(약 10조km)이라고 하면/ 태양은 직경 14cm짜리 멜론/ 거기서 15m 걸어가면/ 직경 1.3mm 좁쌀 한 알/ 그게 지구란다. 그 좁쌀에서 3.8cm 떨어진 곳에/ 직경 0.35mm 티끌 같은 한 점/ 그게 달이란다.

태양에서 명왕성까지 가려면 950m쯤은 걸어가야 돼/ 태양과 지구는 15m 거리/ 1200m쯤 가다보면 태양계도 끝이 보인대/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별은 켄타우르스 자리의 알파성/ 1.3mm 지구에서 4000km 떨어진 곳에 있는 별.

그 별빛을 지금 우리가 보고 있다/ 별 볼 일없는 우리 인간이 말이다/ 아니 그 별이 지금 우리를 보고 있다. 진짜 별을 보고 살자/ 인생 백년을 살지 말고/ 45억 년의 지구/ 50억 년의 태양을 살자. 200억 년 전 초고온 초고압 불덩어리 빅뱅의 우주/ 한 점 소우주로 살자/ 1광년의 한 해 한 해를 살자.’

예전에 과학책을 보고 우주의 신비를 느끼면서, 어느 새해를 맞아 ‘우주의 크기를 1광년이라고 하면’이라는 제목의 시를 써 본 적이 있다. 무한한 우주에 지구는 ‘좁쌀 한 알’, 우리의 삶은 그야말로 ‘티끌 한 점’에 불과하지 않은가. 그러나 하루하루 살다보면 이러한 유한성은 보이지 않고 오로지 끝없는 욕망만 드러나는 일상을 느낄 수 있다. 찰나적 인생의 무한한 욕망, 과연 우리 인간은 소우주라고 할 수 있을까?

2022 임인년(壬寅年). 흑호(黑虎), 검은 호랑이의 새해를 맞는다. 지난 한해 무탈하게 살아온 데 감사드리고, 올 한 해 새로운 소망을 띄워본다. 그런데 앞으로 50년 100년 뒤 우리의 후손들도 이 땅에서 여느 해처럼 새해 소망을 빌 수 있을까? 지금과 같은 기후위기가 계속 된다면 과학자들은 앞으로 100년 이후 지구의 종말을 경고한다. 그러나 최근 넷플릭스 코미디 공상과학영화 『돈룩업(Don't Look Up』)에서 혜성 충돌로 6개월 뒤 지구 멸망이 온다고 과학자가 아무리 이야기해도 사람들이 믿지 않듯이 ‘아무도 하늘을 올려다 보지 않는다’.

미 항공우주국(NASA)이 2030년을 목표로 화성 유인 탐사를 추진하고, 스페이스X CEO인 일론 머스크가 지난해 우주여행의 새 길을 여는 등 지금 인류는 생명체가 살 수 있는 다른 행성 찾기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설혹 이러한 행성을 찾았다고 한들 지구의 보통사람들이 그곳으로 옮겨가 살 수 있을 것인가? 

태양에서 너무 가깝지도 멀지도 않아 생명체가 살아가기에 아주 적당한 행성인 지구. 물과 공기, 온도 습도, 영양분, 쉴 곳, 햇빛을 골고루 갖춘 우리 인간을 비롯한 생명체의 안성맞춤 집인 ‘하나뿐인 지구’는 제임스 러브록이 말한 하나의 거대한 생물체로서의 ‘가이아(Gaia)’이기도 하다. 이 가이아에 인류를 포함해 3000만종의 생명체가 살고 있다.

김해창 교수
김해창 교수

그런데 이 하나뿐인 지구 가이아가 현재 1℃에 가까이 오른 평균온도가 21세기말까지 1.5℃를 넘지 않도록 해야 하는 절체절명의 위기에 처해 있다. 기후위기에 대한 국가나 개인의 인식과 실천, 제도 보완 등 발빠른 대응이 없다면 50년 후 지구의 미래, 인류의 미래는 없다. 지구와 우리는 한 몸이다. 내가 곧 지구다. 그래서 2022년 새해 소망엔 한가지 항목을 더 보탠다. 가화만사성(家和萬事成), 국태민안(國泰民安)에다 지구평화(地球平和)를!

<경성대 교수·환경경제학자, 소셜디자이너>

저작권자 ⓒ 인저리타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