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리(平里) 선생의 '꿈꾸는 도연명' 4 - 도화유수(桃花流水) 묘연거(杳然去)
이득수
승인
2021.08.27 18:38 | 최종 수정 2021.09.03 17:15
의견
0
그럼 도연명이 도원비기에서 펼쳐 보인 무릉도원은 어떤 나라일까요?
도원비기에 의하면 중국 무릉(지금 장가계에 가까운 곳)의 한 어부가 배를 저어가다 문득 잘록한 협곡을 지나자 복숭아꽃이 만발한 별천지가 나타났는데 거기 사람들은 아무런 슬픔이나 갈등도 없이 늘 싱글벙글 평화로운 얼굴이었고 시간이 얼마나 천천히 흐르는지 신선들이 두는 바둑 한 판이 끝나자 도끼자루가 다 썩었다고 했습니다.
문득 자기가 떠나온 집과 가족이 생각난 그가 그 별천지에 대한 이야기를 누설하지 않기로 다짐하고 다시 그 협곡을 빠져나올 수가 있었는데 그 후로 자기가 갔던 곳을 아무리 찾으려 해도 다시 찾을 수가 없었다고 말입니다.
그보다 더 큰 문제는 그 사이 바깥세계의 시간이 얼마나 흘렀는지 겨우겨우 찾아간 고향마을에는 그이 이름을 아는 사람은 아무도 없이 단지 성만 같은 사람이 살았는데 아주 오래 전 고조부보다 더 위에 그런 이름을 가진 선조가 있긴 있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고 말입니다.
그럼 무릉도원의 무릉(武陵)은 어떤 뜻일까요? 우선 도연명이 살았던 장가계의 그 수려한 경관 속에 무릉이라는 마을이 있었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이를 좀 더 깊이 생각하면 어떤 무사(武士) 또는 장군의 무덤이라는 이야기가 되고 더 나아가면 무기(武器)를 파묻은 무덤 그러니까 전쟁이나 갈등이 없는 평화로운 마을이란 뜻도 될 수 있겠지요.
그럼 도화원기에서 무릉은 어떻게 표현되어 있을까요? 가장 대표적인 표현은 복숭아꽃이 떨어져 물에 흘러가는 광경입니다. 보통 한시나 문장에는
도화유수(桃花流水), 낙화유수(落花流水)등의 표현이 많이 나오는데 '이 강산 낙화유수 흐르는 물에'라는 대중가요의 가사처럼 낙화유수는 덧없는 세월이 흘러간다는 시간적 개념이며 도화유수는 시선 이태백의 <산중문답>이란 칠언절구에
도화유수(桃花流水) 묘연거(杳然去)
별유천지(別有天地) 비인간(非人間)
복숭아꽃 아득히 흘러가는 곳
여기가 바로 별천지 아닐런가.
에서 회자되기 시작한 말인데 시선 이백이 자신보다 300년 전의 낭만시인 도연명의 도원비기에서 따온 말입니다. 그렇게 술이나 좋아하며 국화꽃을 완상하던 한 가난한 시인이 20억 한자문화권의 이상향을 만들어낸 것입니다.
그렇다면 우리의 시인 도연명은 과연 그 무릉도원에 닿았을까요? 이야기는 다음회로 넘어갑니다.
<시인, 소설가 / 2018년 해양문학상 대상 수상>
저작권자 ⓒ 인저리타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