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시환의 새 이야기] 낙동강 하구 쇠제비갈매기들은 구애 전쟁 중

김시환 승인 2021.06.24 14:54 | 최종 수정 2021.06.25 17:04 의견 0
낙동강 하구, 쇠제비갈매기의 비행

 

쇠제비갈매기의 비행

 

쇠제비갈매기의 구애
쇠제비갈매기의 구애
쇠제비갈매기의 구애 경쟁
쇠제비갈매기의 구애

2010년 도요등은 전형적인 등이었다. 일부에만 빼고 물이 사방으로 밀고 들어와 종종 갇히기도 한다. 물을 타고 발가락과 발등에 스멀스멀 간지럽히는 녀석이 있다. 살겠다고 모래 속에서 올라오는 생물들, 이녀석들을 을 찾는 촐랑이 세가락도요. 모래톱이 살아 숨 쉬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중편시작부터 동편시작 부분까지 엿가락처럼 길게 조개가 부서진 순백길이 만들어진다. 중간 중간 건너는 곳도 생기고 남아 있는 자리엔 소형도요와 쇠제비갈매기가 차지하지만 흰물떼새 일부가 번식지로 이용할 뿐 잘 활용하지 않는다.

옛 모습을 볼 때 쇠제비갈매기 복원지역은 갈대와 큰 띠풀이 형성하고 있고 언덕으로 형성되었었다. 현재 깎여 없어진 을숙도 방향과 신자도 방향에 우리가 베이스캠프로 이동한 곳은 통보리사초와 좀보리사초가 포진하고 있었다.

서편에서 중편시작까지 여름 뜨거운 모래 위에 다니지 못할 정도로 둥지와 쇠제비갈매기 있어 물가로 이동하며 조사를 하는 것이 둥지보호 차원에서의 예의다. 조심하며 이동하다가도 어쩔 수 없이 물가에 쉬는 어미들을 날리기도 한다.

낙동강 하구 도요등의 쇠제비갈매기 무리
큰부리까마귀를 쫓는 쇠제비갈매기
여러 마리의 쇠제비갈매기들이 덩치가 큰 큰부리까마기를 쫓아내고 있다.

천적이 출연하면 쇠제비갈매기 수백 마리가 함께 둥지와 새끼를 보호하기 위해 공격을 한다. 매들도 범접을 못한다.

그 앞과 중편 초입까지 둥지를 틀고 두 세 개 알을 낳고 태양과 뜨거운 모래 위의 알을 어미의 부리로 굴리고 품으로 식혀 부화를 시킨다.

스코프로 모래톱을 아장아장 걷는 아기 쇠제비갈매기를 볼 때는 입 꼬리는 어느새 귀에 걸려 있고 너구리에 습격당한 새끼를 보면 눈꼬리는 하염없이 내려온다.

부산시낙동강사업 본부 하부조직인 낙동강하구에코센터와 부산시가 대대적으로 쇠제비갈매기 복원사업 성공에 홍보를 하고 있다. 막대한 세금이 투입된 토목사업이다. 

개펄에서 휴식을 취하는 쇠제비갈매기들 
갓 부화한 쇠제비갈매기 병아리

하지만 쇠제비갈매기 서식지복원지역은 사라지고 없다. 육상화 된 부분은 중편에서 동편으로 쇠제비갈매기가 번식지로 이용하지 않는 지역이고 정작 복원지로 지정하고 작업한 곳은 지형이 유실되어 버렸다. 어쨌든 도요등은 유실로 현재 전혀 복원지역으로 역할을 못하고 있다.

6월 13일 현재 낙동강 하구에 쇠제비갈매기 120마리 정도 머물고 있다.

김시환

◇김시환 습지보전활동가

▷습지와새들의친구 운영위원(현)
▷국립습지센터 습지블로그 모니터링 기자 (전)
▷낙동강하구 탐조 가이드북 『낙동강 하구의 새』 공동저자
▷낙동강 하구 정기조류조사
▷도요물떼새이동표식조사
▷고니조사
▷부산연구원조류조사 

저작권자 ⓒ 인저리타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